![4월 5일{95일}♬ 열왕기상15장~17장♥ ♥말씀은 검♥♥◈1년 1독 완독◈ 빠른 성경통독 ◨ 내용개요 ◧ 내용해설♥](https://poortechguy.com/image/J7A0Ipih7Lg.webp)
4월 5일{95일}♬ 열왕기상15장~17장♥ ♥말씀은 검♥♥◈1년 1독 완독◈ 빠른 성경통독 ◨ 내용개요 ◧ 내용해설♥
☻ 열왕기상 15장~17장 내용 개요 및 해설 ☻ ◈ 왕상 ▶ 15장 상반되는 왕국의 왕위 계승 ◈ 왕상 ▶ 16장 북 이스라엘의 왕들 ◈ 왕상 ▶ 17장 엘리야의 초기 사역 ☻ 열왕기상 15장 내용 개요 및 해설 ☻ 열왕기상 15장 상반되는 왕국의 왕위 계승[왕상 15장] [내용개요] 본장에서는 남북 왕국의 2,3대 왕들이 소개된다 개중에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왕도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지 못했다 그리고 거듭되는 남북 왕국간의 전쟁 기록은 서로의 적대감과 이질감을 더욱 심화시켰다 본장은 아비얌의 유다 통치와(1-8절), 아사의 유다 통치(9-24절), 그리고 나답의 이스라엘 통치(25- 32절), 바아사의 이스라엘 통치 도입부가(33-34절) 소개되고 있어 남북 왕조의 각 각 2,3대 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전체 흐름 가운데 부각되는 것은 이 왕들의 개별적인 통치 내용보다 오히려 그들의 승계 혹은 교체 과정이다 그 모습에 담긴 특성이 남북 왕조사 전체의 유형을 대표한다 ☻ 열왕기상 15장 내용 해설 ☻ 분열 왕국의 두 주역이었던 르호보암과 여로보암의 죽음 이후에 두 왕국의 역사는 다음 통치자들에 의하여 계승되어 갔습니다 열왕기 저자는 두 왕국의 역사를 기술하면서 르호보암과 여로보암부터 연대순으로 비교하는 식의 새로운 연대기 서술 방법을 동원하였습니다 남유다는 다윗의 혈통을 이어 아비얌과 아사가 연이어 통치하였습니다 반면 북이스라엘은 나답과 바아사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피 비린내 나는 유혈 혁명이 시작되었습니다 열왕기상 16장 북 이스라엘의 왕들[왕상 16장] [내용개요] 본장은 유다 왕 아사의 재위 기간 중 북왕국에서 발생한 왕조 교체 과정을 수록하고 있다 남왕국에서 아사가 왕으로 있는 동안 북왕국은 무려 3조 6왕의 교체가 있었다 곧 예후의 경고와(1-4절) 바아사의 죽음(5-7절), 그리고 엘라의 행적과(8-14절) 시므리의 행적(15-20절) 및 오므리의 행적(21-28절), 아합의 죄악이 기록되어 있다(29-34절) 그런데 본장이 보여 주는 왕조 교체의 혼란상은 기본적으로 왕권의 존엄성과 권위가 경시되는 데서 비롯되었다 본장에 등장하는 왕들의 경우 대개 그 권위의 바탕으로 무력을 깔고 있었기에 그 무력의 흐름에 따라 왕권이 교체된 것이다 ☻ 열왕기상 16장 내용 해설 ☻ 바아사는 여로보암에게 내린 하나님의 심판을 대행하기도 하였으나, 그 역시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바아사의 집안은 시므리에 의해 살육을 당합니다 자살을 한 시므리에 의해 오므리가 즉위하였는데, 그 역시 우상 숭배의 죄악으로 얼룩진 통치를 하였습니다 오므리의 아들인 아합은 전형적인 악한 왕이었습니다 결국 이스라엘은 정치적인 혼란과 우상 숭배의 죄악 속에서 계속적인 악한 왕들의 즉위로 깊은 영적 암흑기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열왕기상 17장 엘리야의 초기 사역[왕상 17장] [내용개요] 본장은 엘리야의 출현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본서에서 열왕의 역사를 소개하는 가운데 엘리야에 대한 기록은 무려 8장에 이른다 이는 열왕기에서 엘리야가 차지하는 비중을 알려 주는 동시에 단순한 역사의 나열이 아닌, 하나님의 구원 행동을 조명하는 기록으로서의 열왕기의 성격을 드러내 주는 것이다 엘리야의 예언과(1-7절) 엘리야에게 공궤한 사르밧 과부에(8-16절) 대해 기록되어 있고, 과부의 아들을 다시 살린 엘리야의 기적에(17-24절) 대해 기록하고 있다 특별히 본장의 무대가 '사르밧'인 것에 주목해야 한다 왜냐하면 바알 종교의 본산지에서 한 과부가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받아들인 것은 구속사적으로 의미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어둠의 세력이 창궐해도 하나님의 구원의 경륜의 빛은 꺼지지 않기 때문이다 ☻ 열왕기상 17장 내용 해설 ☻ 하나님께서는 악한 아합 왕을 심판하시고, 아울러 하나님만이 유일하신 참 신임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선포하시고자 한 사람을 준비하셨습니다 그가 곧 엘리야였습니다 엘리야는 무명의 사람으로서 그가 어디서, 어떻게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는지, 또한 그의 성장 배경이 어떠했는지에 대해 알 길이 없습니다 엘리야의 최초의 활동들은 극적일 뿐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