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제주밭담축제|수류천돌담길걷기|제주밭담|세계중요농업유산|황룡사|해녀유산|명월진성|고구마캐기체험|비양도|동명리|용천수|옹포천어울마당|강윤복해설사|제작고종익](https://poortechguy.com/image/WzNNz2fkIZA.webp)
제7회제주밭담축제|수류천돌담길걷기|제주밭담|세계중요농업유산|황룡사|해녀유산|명월진성|고구마캐기체험|비양도|동명리|용천수|옹포천어울마당|강윤복해설사|제작고종익
(축제 개요) 제주 밭담축제는 2014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선정한 세계중요농업유산 (GIAHS)인 제주밭담의 가치를 보전하고 알리기 위한 행사이다 2015년 구좌종합운동장에서 시작하여 월정리 밭담공원으로 옮겨 5회까지 개최되다가 2022년부터 6회부터 한림읍 옹포천 어울마당으로 옮겨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축제 개최 일시 장소) 제1회 2015년 10 30-11 1 구좌종합운동장(김녕리) 제2회 2016년 10 22-23 구좌읍 월정리 밭담테마공원 제3회 2017년 10 14-15 구좌읍 월정리 밭담테마공원 제4회 2018년 9 15-16 구좌읍 월정리 밭담테마공원 제5회 2019년 9 28-29 구좌읍 월정리 밭담테마공원 (코로나19로 모든 행사 잠시 중단 기간) 제6회 2022년 9 30-10 1 한림읍 옹포천 어울공원 제7회 2023년 10 21-22 한림읍 옹포천 어울공원 (밭담은 1234년 고려시대 제주에 부임한 판관 김구가 제도적으로 쌓게 만든 밭담) (명월진성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1592년 개축된 방어시설 길이 1,360m 높이 4 2m의 거대한 돌로된 성) (아름다운 밭담길 이름) 수류촌 밭담길(동명리) 영등할망 밭담길(귀덕리) 어멍아방 밭담길(신풍리) 난미 밭담길(난산리) 진빌레 밭담길(월정리) 감수굴 밭담길(평대리) 공세미 밭담길(어음1리) 물메 밭담길(애월 수산리) (밭담의 기능) 제주밭담은 1,000년이 넘는 장구한 세월동안 제주선인들의 노력으로 한 땀 한 땀 쌓아올려진 농업유산이다 바람을 걸러내고 토양유실을 막아내며 마소의 농경지 침입을 막아 농작물을 보호한다 농지의 경계표지 기능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제주밭담은 농업인들의 삶과 지혜 그리고 제주농업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농업유산이다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제주밭담은 지역별 토양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그 길이는 약 2만2천km에 이른다 (흑룡만리(黑龍萬里)란 말이 여기서 나온 것이다) 제주섬의 밭담을 두고 ‘흑룡만리(黑龍萬里)’라 부르기도 한다 검은색을 띠고 있는 현무암의 밭담이 끊임없이 이어지며 구불구불 흘러가는 모습이 마치 흑룡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만리'는 끝없는 듯 이어진 길이를 나타낸 상징어로 제주섬 선인들의 땀방울을 떠올리게 한다 멀리서 바라보면 한 폭의 거대한 그림을 연상시키는 제주섬의 밭담은 이렇듯 선인들의 지혜와 노력이 고스란히 담긴 농업문화유산이라 하겠다 (제주 밭담은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1 00:00:27,260 --- 00:00:35,669 (강윤복 해설사) 여기서 출발하면 두시까지는 돌아와야 되서 좀 빨리 걸을 거에요 2 00:00:35,869 --- 00:00:45,879 아~~ 역시 엄마는 용감하다~~ 조심하세요 천천히 오세요 3 00:00:59,426 --- 00:01:16,810 1948년에 43이라는 큰 사건이 있었죠 그 때에 중산간에 있던 마을들은 전부 해안가로 사람도 절도 마찬가지 전부 내려오게(소개) 했어요 4 00:01:17,544 --- 00:01:25,352 그 때에 해안가로 내려왔다가 다시 올라가지 못한 절이 이곳이에요 5 00:01:25,618 --- 00:01:36,896 원래는 광룡사였는데 황룡사로 이름을 바꾸어 이 곳에 있는데 우리가 걷는 길에는 이러한 제주도의 아픈 역사도 깃들어 있어요 6 00:01:37,564 --- 00:01:46,806 이 길에 사람들의 이야기가 다 들어 있는 것이죠 그 이야기를 하나씩 캐내면서 여러분과 함께 걸어볼 거에요 7 00:01:46,973 --- 00:01:56,983 1970년대 이전에는 물건을 담을 그릇이 모자랐어요 그 때는 플라스틱이 일반화되지 않은 때였지요 8 00:01:57,417 --- 00:02:08,294 그래서 대나무로 바구니도 만들고 낚시대도 만들고 집을 짓는 재료로도 쓰고 우리는 어릴 때 대나무를 가지고 놀았어요 9 00:02:09,295 --- 00:02:19,305 그 때는 장난감이 없었어요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었어요 이렇게 청소를 하고 오 잘 뚫어졌네요 10 00:02:19,439 --- 00:02:29,449 (옛날엔) 플라스틱이 없었기 때문에 이것(대나무 잎)으로 떨리는 리드를 만들었어요 11 00:02:32,786 --- 00:02:41,761 이걸 여기다가 이렇게 끼워 넣어요 짜잔~~ 12 00:02:41,761 --- 00:02:47,667 할아버지의 장난감 한번 불어보자고요 누가 불어볼까? 13 00:02:57,844 --- 00:03:04,851 소리 안 나면 어떻게 해 이거 14 00:03:04,851 --- 00:03:12,759 여기까지 물고 혀 닿지 않게 해서 한번 세게 불어 봐 깊게 물어~~~ 15 00:03:19,766 --- 00:03:28,174 근데 이거는 한 시간이 지나면 말라서 비틀어져 버려 그래서 선생님이 셀로판지로 만들어 왔는데 나랑 같이 해 볼까? 16 00:03:33,947 --- 00:03:44,124 선생님이 대한민국 하면 너는 따따 따 따 해야지 17 00:03:44,758 --- 00:03:58,872 (제주가) 만들어 놓은 문화도 세계가 인정하고 있어요 그 중에 하나가 제주밭담이죠 2014년에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되었죠 18 00:03:58,872 --- 00:04:11,84 2016년에는 바다에서 하는 문화 해녀유산이 유네스코에서 인정되었죠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죠 19 00:04:11,84 --- 00:04:17,57 이렇게 제주도는 다 세계라는 글자가 들어갑니다 보통 세계적이에요 20 00:04:17,57 --- 00:04:24,898 여러분은 지금 셰계중요농업유산인 밭담길을 걷고 있습니다 21 00:04:24,898 --- 00:04:30,70 어떻게 물이 저기(돌들)를 통과해서 지하수 삼다수가 될까요? 22 00:04:30,70 --- 00:04:44,250 이 용암은 올라와서 굳을 때 절리라고 해서 석고 만들 때 깨지는 것처럼 젖은 땅이 햇빛에 노출되면 깨지는 것처럼 23 00:04:44,617 --- 00:04:51,157 용암도 틈이 생겨납니다 그 틈을 통해서 (물이 지하로) 들어가는 것이죠 24 00:04:51,157 --- 00:05:00,867 현무암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지하수 삼다수가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는 이야기죠 아시겠지요 25 00:05:28,595 --- 00:05:34,334 자 여기서 3분 동안 땀을 잠깐 식히고 출발하겠습니다 26 00:05:34,334 --- 00:05:40,774 저는 여기서 공연이 있는 줄 알았는데 오늘이 아니고 (내일이랍니다) 27 00:06:38,698 --- 00:06:44,404 이거(고구마) 뭘로 캐나요? 장갑이랑 묘종삽 (준비되어) 있어요 28 00:06:45,705 --- 00:07:11,731 고구마 캐기 체험 29 00:07:16,770 --- 00:07:26,12 (저 앞에 보이는 섬이) 제주도에서 날아가서 생겨났다는 날 비(飛) 비양도에요 30 00:07:26,179 --- 00:07:38,224 만년 전에는 비양도가 있던 곳이 육지였어요 만년 이전에는 그때 육지였을 때 만들어진 오름이었어요 31 00:07:38,458 --- 00:07:44,230 바다에서 만들어진 오름은 그 오름을 이루고 있는 물질들이 다릅니다 32 00:07:44,964 --- 00:07:55,575 육지였을 때 만들어진 오름이고 만년 전에 빙하시대가 끝나고 나서 지금과 같은 바다 높이가 된 것은 5~6천년 전이었다고 합니다 33 00:07:56,276 --- 00:08:02,982 그때 바다가 들어와서(해수면이 높아져서) 저기(비양도)를 섬으로 만들어 버린 것이죠 34 00:08:03,283 --- 00:08:15,562 비양도에 가 보면 그러한 재미있는 지형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 번 가서 재미있는 지질 지형들을 보시는 것도 좋을 겁니다 35 00:08:15,562 --- 00:08:25,572 자 손만 씻을 수 있습니다 이제 나와 주세요 36 00:08:27,574 --- 00:08:49,662 동명리는 중산간 마을이지만 용천수가 풍부하게 솟아 옛날에는 수류천촌(水流川村)이라 불렸고 수류촌밭담길이 조성되었다 37 00:08:54,668 --- 00:09:02,876 (강윤복 해설사) 여러분과 함께 해서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 밭담은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