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내리는 백마강] #김용임 #꿈꾸는백마강](https://poortechguy.com/image/pacHPq13rkc.webp)
[비내리는 백마강] #김용임 #꿈꾸는백마강
#낙화암 #백마강 #의자왕 #삼천궁녀 #백제 #부여 #고란사 #사비성 #부소산성 #금강 #황포돛배 #백마강레저파크 #백마강교 #트레킹 #산책 #힐링 #행복 #김용임 #꿈꾸는백마강 #미스트롯 #kpop 백마강 일대는 538년(성왕 16)에 국도를 웅진에서 사비성(泗沘城)인 부여로 옮겨, 660년(의자왕 20)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백제의 심장부였다 부소산에는 부소산성·군창지(軍倉址)·고란사(皐蘭寺) 등의 사적이 있으며, 동쪽 끝 약 100m 높이의 단애에는 백제가 멸망할 때 삼천궁녀가 백마강으로 몸을 던졌다는 전설의 낙화암(落花巖)이 있다 백제 멸망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3,000이란 숫자 삼천궁녀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계 고려 유학자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의자왕이 삼천 궁녀와 놀아나다 나라를 망친 인물로 쓰여져 있다 그러나 그 ‘삼천 궁녀’라는 말은 삼국 시대를 다룬 어떤 역사책에도 없다고 한다 한때 ‘해동증자’로 불리며 현명했던 의자왕이 연회 몇 번 베풀었다고 나라가 망했을까? 신라 입장에서는 백제가 멸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필요했던 것이고, 의자왕이 희생양이었던 것이다 660년 의자왕이 사비성에서 백제의 항복식을 치르며 당나라의 소정방과 신라의 김춘추에게 술을 따르자 울지 않은 이가 없었다고 한다 또한 부여에 있는 ‘유왕산’은 의자왕이 당나라로 끌려갈 때 백성이 이 산에 올라 통곡하고, 의자왕은 백성을 위로하며 잘 갔다 돌아오겠다는 인사를 한 서글픈 전설이 깃들어져 있는 산이다 그리고 의자왕은 당나라에 끌려가 그곳에서 생을 마치게 됩니다 부소산성은 백제의 요새로 660년에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 신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침공할 때 당나라 군사가 쉽게 상륙하여 백제군을 치고 신라군과 연합하여 사비성을 공격하였던 곳이다 백마강은 "백제의 제일 큰 강"이란 뜻으로 백마강은 일본, 신라, 당나라, 서역에 이르도록 문물교역의 큰 길목이 되었던 곳이다 부소산 북쪽에서 백마강을 내려다보듯 우뚝 성 있는 바위 절벽으로 절벽 아래에는 조선시대 학자인 우암 송시열 선생이 쓴 [낙화암] 글씨가 선명하게 보인다 발길이 닿는 곳마다, 뱃길이 가는 곳마다 옛 전설이 있는 부여 백마강!~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따뜻한 댓글 남겨주시고 [구독]과 [좋아요] 클릭은 영상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