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전세사기 대처 7가지 방법 #부동산 전세사기 대처 7가지 방법 #부동산 전세사기 #전세사기 대처방법
부동산 전세사기 대처 7가지 방법 국토교통부실거래가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전국 깡통전세 감별기 특약 문구 추가 임차인이 대항력을 취득할 때까지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것이 금지되고, 현재 부동산등기부등본상 기재된 사항을 유지한다라는 취지의 특약을 추가하는것이 좋습니다 부동산 전세사기 대처 7가지 방법 오늘은 최근 이슈인 전세사기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준비를 해봤습니다 빠르게 7가지 방법에 대해서 진행하겠습니다 설명란에는 사이트등 정보들이 있어요 1 진짜 소유자인지 확인해라 계약하러 나온 사람이 정말 집주인인지 주민등록상 이름과 얼굴이 일치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등기부등본에 신탁이 있으면 조심하라 신탁회사가 소유자로 들어가있으면, 의심을 해야 합니다 실제로 신탁회사를 통해 자금을 융통한 사람들이 나중에 명의를 되돌려 놓는다면서 바지사장을 앞세워 계약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9번 이미지 3 특약 문구를 추가하라 임차인이 대항력을 취득할 때까지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것이 금지되고, 현재 부동산등기부등본상 기재된 사항을 유지한다라는 취지의 특약을 추가하는것이 좋습니다 10번 이미지 4 시세를 파악해라 kb부동산, 국토교통부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호갱노노와 같은 앱으로 당연하겠지만 그 일대 최근 시세를 미리 알아보는게 좋습니다 * 국토교통부실거래가 정보는 설명란에 넣어두겠습니다 * 5 등록된 공인중개사와 거래하라 최근 사기를 당한 사례중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부동산에서 거래를 한 경우들도 있다고 하네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해당 지역 및 공인중개사무소로 검색을 하면 확인 할 수 있다고 합니다 6 공제증서를 확인하라 공제증서란 공인중개사의 잘못으로 임차인이 손해를 입은 경우 그 손해를 보증한다는 내용의 증서인데요 요즘같은 세상에 공인중개사가 공제증서를 안준다고 하면 문제가 있는것으로 당연하게 당당히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7 전국 깡통전세 감별기를 이용해라 마지막으로 최근에 mbc에서 만든 [전국 깡통전세 감별기]사이트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실제로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니깐, 꽤 도움이 되더라구요~ 저는 최근에 부동산의 필요성에 대해 물음표가 생겼습니다 이런건 사전에 부동산에서 먼져 알아보고 연결을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하고요 시청자 분들도 사기피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편안하고 즐거운 시간 되세요~ 관련글 참조출처 : #부동산 전세사기 대처 7가지 방법 #부동산 전세사기 #전세사기 대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