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오후 회동…국회 정상화 논의
여야 원내대표, 오후 회동…국회 정상화 논의 [앵커] 여야 원내대표가 오늘 오후 만나 구체적인 국회 정상화 방안을 협의합니다. 예산과 민생법안 처리, 선거구 획정 등 현안에서 입장차가 여전한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효정 기자. [기자] 네. 잠시 뒤 오후 3시 여야 원내대표와 수석이 만나 국회 의사일정을 조율합니다. 일단 10일 쯤 본회의를 개최해 이견이 없는 법률안을 처리하는 데는 여야가 공감대를 형성한 상태인데요. 이날 본회의에서 국회 국토위원장과 중앙선관위원 선출 안건, 국회 정개특위 연장법안을 함께 처리하는 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도 예산안 처리와 한중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등도 테이블에 오르지만 견해차가 여전합니다. 현재 새정치연합은 지난 나흘간의 농성기간 여당이 단독으로 예산결산특위를 열고 진행한 예산 심사 내용은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됩니다. 또 여당은 한·중 FTA 비준을 위한 여야정 협의체를 즉각 가동하자는 반면 야당은 상임위 별 심사를 거친 뒤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맞서고 있는데요. 노동개혁 후속처리 입법과 선거구 획정안 문제도 이견이 여전해 남은 정기국회 기간 또 한번의 소용돌이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앵커] 새정치연합이 국회 복귀를 선언했지만 국정교과서 문제를 계속 이슈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휴일에도 공세를 이어가고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교육부의 고시 절차에 하자가 있었다는 주장을 내놨는데요. 최재천 정책위의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지난 9월 2018년 3월부터 국정교과서를 적용하기로 교육과정을 고시했는데 최근 이를 1년 앞당기는 고시를 슬그머니 다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고시를 다시 한 만큼 20일 간의 행정예고 기간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인데요. 새정치연합은 "박근혜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에 맞춰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시행하려 압박하는 게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야당은 정기국회 기간 역사교과서 국정화 금지법 제정안을 비롯해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등 국정화 금지관련 법안 처리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동시에 민생행보도 본격화하는데요. 문재인 대표는 잠시 뒤 오후 2시 '민생 최우선주의' 법안 추진 등의 내용을 담은 민생 구상을 밝힐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