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대강 사업 반대 활동 뒤 교수 연구비 끊겼다” / KBS뉴스(News)
KBS 는 어제(4일)부터 이명박 정부의 4 대강 사업과 관련해 당시 국정원의 민간인 불법 사찰 문제를 집중적으로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연관 기사] “4대강 총비용 31조, 편익은 6조 원대”…“25조 허공으로” 오늘(5일)은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4 대강 사업 추진을 위해 지식인과 대학 사회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 그 적나라한 실상을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탐사보도부 최준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국정원의 4대강 사업 관련 민간인 사찰 문건입니다 '학계 반대 교수들의 동향을 수집한다', '국고지원금, 연구용역비 감사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등장합니다 이렇게 실행이 됐을까? '운하반대 전국교수모임' 소속으로 4대강 사업 반대 활동을 해 온 이원영 교수의 기억도 문건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원영/수원대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 "귀국하자마자 그 다음 날 전화가 온 거예요 '국정원에 있는 누구누구인데, 교수님 독일 잘 다녀오셨습니까?' 저의 동선을 다 파악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예요 "] 연구비도 끊겼습니다 정부 발주 연구용역은 아예 받지를 못했다는 겁니다 [이원영/수원대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 "공공기관에서 필요한 연구를 해주는 그런 일들이 굉장히 많았어요 2009년부터 완전히 단절됐습니다, 외부 연구비가 "] 대표적인 4대강 사업 반대 학자로 국정원 사찰을 받았다는 박창근 교수 그조차도 수차례 정부 용역 과제에서 제외되자 기업체 연구용역에서도 스스로 몸을 사려야 했습니다 [박창근/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 "'국정원한테 물어보고 (의뢰)해라 혹시 당신들이 왜 박창근이한테 연구 과제를 주었냐라고 추궁을 당할 수도 있다 '(고 이야기 했죠 )"] 연구용역은커녕 환경 정책과 관련한 각종 자문 의뢰도 뚝 끊겼습니다 [이성기/조선대 환경공학과 교수 : "평소에 아주 전문적인 분야를 많이 자문받고는 했었는데, 아예 연락이 두절되고 모든 위원에서 배제 됐습니다 "] 4대강 사업에 대한 학자적 비판을 사찰과 돈줄로 막으려던 이명박 정부의 공작은 대학과 지식인 사회마저 훼손했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