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북미 대화 의지 분명...'전부 아니면 전무' 전략 재고해야" / YTN

靑 "북미 대화 의지 분명...'전부 아니면 전무' 전략 재고해야" / YTN

[앵커] 지난달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 간 냉각 기류가 확산하는 상황인데요 청와대는 북한과 미국 모두 과거 같은 대결 구도로 회귀하지는 않을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또 북한의 비핵화 최종 목표와 그 도달 방식에 대해선 한미 간 이견이 없다면서도, '전부 아니면 전무' 전략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임성호 기자! 그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미국과의 협상 중단을 시사하는 기자회견을 했는데 청와대가 현재의 상황을 설명한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미간 상황에 대해서 청와대의 자체 판단을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우선 하노이 회담이 결렬 이후에도 북미 간 대화 의지는 분명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양측 모두 이전과 같은 갈등으로 회귀하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비록 하노이 회담이 결렬됐지만 완전한 비핵화와 제재 해재가 목표라는 데 양측이 재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또 하노이 회담에서도 서로가 생각하는 비핵와 방식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졌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전부 아니면 전무 방식의 비핵화 협상 전략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앞서 북한과 미국이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언급을 했는데 앞으로 북미 다시를 어떻게 중재해 나갈 건지에 대한 언급도 있었죠? [기자] 이 부분에 대해서도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미 간 협상이 지연이 장기화할수록 불확실성도 확대된다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북미 대화 중재를 위한 여러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했는데 이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도 이번 하노이 회담의 합의 불발이 이른바 톱다운 방식의 협상이 실패했다고 언급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남북미 3개국 정상이 유대와 신뢰를 바탕으로 북미 대화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한 건데요 특히 북한의 체제 특성상 김정은 국무위원장만이 결단이 가능한 만큼 서로 신뢰와 우의를 가지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만이 김 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을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중재에 대한 대목은 말을 아끼는 분위기였고, 그리고 비핵화를 추진하는 목표와 방식에 한미 간 이견이 없다고 밝혔는데 그럼 앞으로 북미 대화를 견인하를 위한 남북 대화에도 더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건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실제로 이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완전한 북한의 비핵화 로드맵에는 한미 간 이견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한미가 긴밀한 공조 하에 북미 대화 재개, 또 북한의 대화 궤도 이탈 방지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제는 남북 대화 차례라고 밝혔습니다 우리에게 바통이 넘어왔다는 건데요 현 단계에서 대북 대화를 구체화할 만한 구체적인 계획은 갖고 있지 않지만 북한과의 대화는 꼭 필요한 만큼 현재 여러 방안을 신중히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YTN 임성호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