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본색②] 질병 유발하는 변형 RNA, 어떻게 제거될까? / YTN 사이언스](https://poortechguy.com/image/1JNXPCKMoGY.webp)
[과학본색②] 질병 유발하는 변형 RNA, 어떻게 제거될까? / YTN 사이언스
■ 최소라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다음 소식은 어떤 건가요? [기자]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발현 조절과정에서 변형된 유전자가 분해되는 경로를 새롭게 규명했습니다 RNA 유전자에 생긴 변형인데, 굉장히 흔한 변형이라서 이 과정을 규명한 것이 의미 있는데요, N6-메틸아데노신이라는 변형 생긴 RNA입니다 RNA 유전자를 이루는 구성물질 아데노신에 메틸기라는 성분이 붙어버린 겁니다 쉽게 m6A 변형이라고 불립니다 이런 변형이 생기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나 간암, 에이즈, 인플루엔자와 같은 질환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규명했다고 합니다 [앵커] m6A라는 변형이 주요 질병들의 원인이 되는 거군요 변형이 제거되는 과정을 규명했다면 이런 기능이 떨어져 질병이 발생하는 사람에게 도움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과정으로 규명됐나요? [앵커] 먼저 m6A 변형을 일으키는 것은 메틸화제라는 단백질이었는데요 이를 제거하는 경로, 이번에 고려대 연구진이 규명한 경로를 살펴보면요 m6A 변형이 발생한 RNA를 먼저 인지단백질이 인식해 결합하고요 그 후 분해효소가 붙어 RNA의 중간을 잘라버립니다 그다음에 RNA가 자연스럽게 분해된다고 합니다 이 구체적인 단백질을 밝혀낸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간단해 보이지만, 이런 과정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는 추후 연구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연구가 추후 인류에게 어떤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되나요? [기자] 앞서 말씀드린 대로 m6A 변형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간암, 유방암의 발생과 관련 있습니다 에이즈와 인플루엔자와 같은 바이러스 관련 면역 질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요 이런 기초연구가 바탕이 돼서 앞으로 이런 질환을 더 이해할 수 있고요 나아가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m6A 변형이 세포 내에 가장 보편적인 변형 형태이긴 하지만요 그 외에도 조절 메커니즘이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은 다양한 변형들이 있습니다 연구진은 이제 또 다른 변형 형태들 또한 연구할 계획이고요 여러 가지 RNA 변형이 미치는 생리학적 병리학적 기능에 대해서 후속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앞서 말씀하신 대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간암, 유방암과 관련이 있다고 하니깐 앞으로 좋은 연구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