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협의단 "한일 함께 지혜 모아야"...현안 해법 속도 조절 / YTN](https://poortechguy.com/image/1whKNxAxD_Q.webp)
정책협의단 "한일 함께 지혜 모아야"...현안 해법 속도 조절 / YTN
정책협의단 방일 마쳐…기시다 총리에 친서 전달 정진석 단장 "관계 개선 시급 인식 공유" 日 '선 해법' 입장…"손뼉도 마주쳐야 소리 난다" 日, 기업 자산 현금화 연내 이뤄질 가능성 우려 도쿄신문, '자산 현금화 시키지 않겠다' 보도 [앵커] 윤석열 당선인이 보낸 정책협의단이 닷새 간의 일본 방문 일정을 마쳤습니다 기시다 총리 등 일본 주요 인사들과 관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데 일치했지만 강제동원과 위안부 등 핵심 현안 해결을 놓고 신중한 탐색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한일정책협의단은 닷새 동안 기시다 총리에게 당선인 친서를 전하고 아베 전 총리까지 주요 인사들을 두루 만났습니다 정진석 단장은 한일 관계 개선을 더 미룰 수 없다는 인식을 공유한 것을 이번 방문의 성과로 꼽았습니다 강제동원과 위안부 해법을 먼저 내놓으라는 일본 측에는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진석 / 한일정책협의단장 : 한일 관계는 누가 이기고 지는 문제로 간다면 해결이 요원합니다 한국이 먼저 답을 주고 그러기보다 한국과 일본이 같이 함께 지혜를 모아 해결할 문제라는 것을 거듭 말했습니다 ] 일본 정부는 강제동원 배상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가 올해 안에 이뤄질 가능성을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은 협의단이 '자산을 현금화 시키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그런 표현을 쓴 적이 없다"며 "한일 관계 악화를 방치하지 않겠다는 답변으로 대신했다"고 정 단장은 설명했습니다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이 문제가 해결됐다고 주장하는 일본은 한국 새 정부가 출범 후 내놓을 조치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마쓰노 히로카즈 / 일본 관방장관 : 나라와 나라 사이의 약속을 지키는 것은 국가 간 관계의 기본이다 한국 새 정권의 입장을 잘 지켜본 뒤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따라…] 2015년 위안부 합의는 한국 정부도 인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강제동원 문제와 마찬가지로 한일 양국과 피해자가 모두 동의하는 해법을 찾아야 하는 난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 단장은 오는 6월과 7월 한일 양국 선거가 끝나면 대화를 위한 시간은 충분하다며 서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일본 역시 한국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은 있지만 신중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양국이 핵심 현안을 놓고 탐색전을 이어가는 동안 김포-하네다 운항 등 실질적인 교류 재개부터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 YTN 이경아 (kalee@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