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08. 23. 現 중2부터 사실상 '고교학점제'‥내후년부터 단계 적용

2021. 08. 23. 現 중2부터 사실상 '고교학점제'‥내후년부터 단계 적용

[EBS 저녁뉴스] 교육부가 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위한 단계적 계획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지금 중2가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내후년부터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고교학점제가 단계적으로 시행됩니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에 맞게 이수학점을 조정하고, 전담 인력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금창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정해주는 수업을 듣는 게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골라 배우는 '고교학점제' 정규 교과목에 없더라도 학생이 원할 경우 새로운 과목도 신설할 수 있어 다양한 공부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고교학점제를 시범운영하고 있는 학교에서는 평균적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늘었습니다 현재 중2가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23학년도부터 이 같은 고교학점제가 단계적으로 시작됩니다 내후년 고교 1학년 적용을 시작으로 차츰 적용 학년을 늘려, 오는 2025년에 전면 도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수업 이수 기준은 '단위'에서 '학점'으로 바뀌고 기존 204단위 수업이 192학점으로 수업량도 줄어듭니다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수업 부담이 줄어들어 소인수 과목이나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학교 밖 교육 등 다양한 교육과정의 운영이 더욱 내실 있고 질 높게 운영될 것입니다 " 또,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학교에서 국어와 영어, 수학 등 공통과목의 학업성취율 40% 미만 학생들을 별도 지도합니다 다만, 학생들이 '등급' 걱정을 하지 않고 원하는 수업을 듣는 데 필수로 꼽히는 '성취평가제'는 2025년부터 전면 적용됩니다 그 전에는 가장 심화 과목인 '진로 선택' 과목에만 성취평가제가 적용됩니다 고교학점제에 맞는 대학입시는 오는 2024년까지 마련할 예정입니다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2028학년도에 적용될 새로운 대입제도는 미래형 대입제도로 추진될 것이며, 2023년까지 다각적이고 다층적인 연구와 논의를 활발하게 해나갈 것입니다 " 교육부는 고교학점제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게 내년에 학교별 학점제 전담교사 모두 452명 배정합니다 또,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도 내년까지 학교당 1명 이상, 총 1천 600명을 마하기로 했습니다 EBS 뉴스 금창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