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 8.3% 상승…뉴욕 증시 2년 만에 최대 폭락 [굿모닝 MBN]

미국 물가 8.3% 상승…뉴욕 증시 2년 만에 최대 폭락 [굿모닝 MBN]

【 앵커멘트 】 미국이 발표한 8월 소비자 물가 지수가 예상보다 높은 8 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뉴욕 증시는 2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워싱턴 특파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중락 특파원 네, 워싱턴입니다 【 질문 1 】 먼저, 미국의 8월 소비자 물가지수 어떻게 나왔나요? 【 기자 】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노동부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 3% 올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6월 9 1%에서 7월 8 5%로 내려온 이후 두 달 연속 8% 이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가 하락에도 물가가 별로 내려가지 않으면서 9월에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3연속 0 75%p 금리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 밟을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관측됩니다 지난달 26일 "물가가 높으면 고통이 따를 수 밖에 없다"는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잭슨 홀 미팅 발언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제롬 파월 /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지난 26일) -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비용이지만, 물가안정을 회복하지 못하면 훨씬 더 큰 고통이 따를 것입니다 " 국제 유가 하락에 힘입어 에너지 물가가 많이 떨어진 대신 주거 비용과 식료품 물가, 의료 비용이 치솟은 것이 전체 물가를 높은 수준에 머물게 했습니다 특히, 식료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4% 치솟아 1979년 5월 이후 4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주거 비용은 전월보다 0 7%, 전년 동월보다 6 2% 각각 상승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심각하고 장기화할 수 있다는 공포로 뉴욕 증시는 다우가 1200 포인트 이상 빠지면서 3 94% 하락했고, 나스닥 지수는 5 16% 하락하면서 2년 만에 최대폭으로 곤두박질 쳤습니다 【 질문 2 】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물가를 잡으려는 바이든 대통령에게도 비상이 걸렸는데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 기자 】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자 인플레이션 감축법 입법의 중요성과 의미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면서 "이것이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킨 이유"라고 밝혔습니다 물가가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여전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상황이 앞으로 더 개선될 것이라면서 차단막을 치는 모습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낙태 문제 등으로 어느 정도 중간선거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다시 물가가 상승하면서 불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을 통한 미국산을 강조하며 제조업 부활론을 계속 홍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인플레이션 감축법 강조가 우리나라 전기차 차별 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책도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 드렸습니다 영상촬영 : 김현수 / 워싱턴 영상편집 : 김미현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