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백신패스’ 비판 확산…“부작용, 누가 책임 지나?” / KBS 2021.12.06.](https://poortechguy.com/image/2AVMekYzIM4.webp)
‘청소년 백신패스’ 비판 확산…“부작용, 누가 책임 지나?” / KBS 2021.12.06.
[앵커] 정부가 내년 2월부터 '학원의 백신 패스'를 청소년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히면서, 비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백신을 안 맞은 학생은 학원을 못 가게 되는데, 학생과 학부모, 학원 모두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초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신패스(일명 방역패스) 결사 반대합니다' 자신을 고등학생이라고 밝힌 사람이 쓴 청와대 국민청원입니다 백신패스는 백신 접종을 강제하는 것으로 헌법에 어긋나는 위헌 정책이라고 주장합니다 게시 10여 일 만에 동의자가 25만 명이 넘었습니다 춘천 도심 한복판에도 비슷한 내용의 현수막이 내걸렸습니다 이렇게 현수막에는 백신접종과 백신 권유가 인권침해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 같은 비판의 직접적인 발단은 백신패스를 청소년까지 확대하겠다는 정부 발표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백신을 안 맞은 학생들은 학원에 못가는 사태가 속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신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가 부족하고, 실제 부작용 사례도 많은 상황에서 어린 학생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요하는 건 옳지 않다는 겁니다 [학부모 : "강제로 맞았을 경우에 내 아이가 잘못되면 그걸 어떻게 해결해줄 거고, 어떠한 책임을 져줄거냐 "] 질병관리청의 통계를 보면, 만 12살에서 17살 사이 청소년들의 경우, 전국의 백신 접종자 1,000명당 2 4명꼴로 이상반응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이 가운덴 급성 알레르기반응인 아나필락시스에 심근염이나 심낭염 의심 사례도 있습니다 [중학생 : "아직은 안 맞고 싶어요 백신을 꼭 맞아야 학원에 간다고 하는데, (부모님이) 그것도 아직 좀 걱정하시고 있는 것 같아요 "] 또, 건강상의 이유로 백신을 맞을 수 없는 학생들은 어떻게 할 거냐도 문젭니다 [진희석/춘천시학원연합회장 : "우리 아이는 기저질환이 있는데, 자기는 아이에게 백신을 맞출 계획이 없다 학원에서 감히 뭐라고 할 수 있는 얘기도 아니고 "] 이 같은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백신패스 청소년 확대 적용을 내년 2월부턴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초롱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