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코스닥 맥점 포인트 근접! 증시 폭락의 시발점인가? (f. 에코프로 버티는 이유, 이것을 체크하세요)](https://poortechguy.com/image/2VzzMXqehs0.webp)
코스피, 코스닥 맥점 포인트 근접! 증시 폭락의 시발점인가? (f. 에코프로 버티는 이유, 이것을 체크하세요)
📢 매일 오후 3시 40분 김봉만의 마감전략! 놓치지 않을꼬에여 =========================== 미스터 마켓(14:10 ~ 14:50) 진행: 김봉만(토마토투자클럽) =========================== ▶7월 중요 변곡점 투자 전략 상반기 시장 정리 및 하반기 전략! - 상반기(6월말) 하반기(7월초) 주가 흐름 분석 - 7월만기 지나서 하향으로 자리잡은 후 올려놓고 때리는 모습 - 외국인, 6/14일부터 선물 시장에서 투기적인 매매 영끌 매수/매도 지속, 한번 매수/매도하게되면 1만 계약 이상 - 내일 외국인 선물 매수가 안들어온다면 우리가 모르는 다른쪽에 노이즈가 생겼다는 것이기에 내일~다음주 중반까지 중요 - 지금은 외국인/기관의 매물보다 개인 투자자가 많이 매수한 매물이 더 무서운 것 - 20일선을 한번 꺾고 나서 20일선 돌파/터치를 해주면 일절 하락 이후 저점 확인 가능한 것, 반등 주고나서 가급적 저점을 깨면 안됨, 이걸 깨면 가바닥이 되기에 한번 더 하락할 수 있음 - 이번에 밀리고 저점 이탈한다면 120일선과 2,500P정도에서 1차 바닥이 나올 수 있는데 다음주에도 외국인 선물 매도가 나타나면서 라인 이탈하면 더 깊게 밀릴 것 - 가급적이면 내일/다음주 월요일까지 6월 마지막 종합 주가를 이탈하지 않아야 돌릴 수 있을 것 예상 - 지금은 외국인의 투기적인 매매로 방향성을 알 수 없기에 경계하여 접근 필요 - 이렇게 올려놓은 시장은 경험적으론 원위치 시켜 놓을 가능성이 높음 - 단기적으로는 지지 맥점을 지지하면서 내일까지 마감을 할지/월요일 부터 살릴지 확인 필요, 조금 더 주더라도 최소한 월요일까진 시장의 향방을 확인 후 대응 필요 - 삼성전자, 하단 지지선을 계속 건드린다는것은 아래쪽으로 흔들 여지가 있다는 것,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오늘이 중요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60일선까지 밀린 상태, 이번 실적 발표는 했으나 내용 중 예상보다 반도체 재고 소진 속도가 둔화되고 있음 확인 - SK하이닉스, 20일선 훼손되는 모습 조금 더 기다리자 - 반도체, 이번엔 고점 돌파 후 거래가 나오지 않았음, 반도체도 피로감이 가득한 구간, 2차전지는 올라도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만 올라가는 상황이기에 의심 필요 ▶ 양 시장 7월 만기일까지 변동성 확대 예상 - 현재 구간 년 중 변동성이 가장 큰 시기(외국인 투기적 선물 매매) - 새마을 금고 사태로 금융시장 불안 심리 확대 - 에코그룹주로의 자금 쏠림 현상 심화(수급악화) - 에코그룹주들이 이번주 들어서 전체 코스닥 거래 대금 30% 차지 미국의 애플도 올해만 시총이 9,700억달러가 늘었음, 특정 종목이 올라가면서 거래 대금을 차지해버리면 시장의 변동성 확대되는 요인이 된다 - CFD 매물 출회 및 기간연장 제한 부담(수급악화) - CFD 미수 채권 발생으로 정부 입장에선 이 제도를 손봐야 시장 안정화 될 것인데 각 증권사에선 기간 연장 안해주고 제도 폐지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음 개별주가 이런 가운데서 아무런 이유도 없이 추가로 밀리는 것 - 2분기 기업별 실적 발표(결과에 따라 변동성 확대) - 내일 삼성전자 실적 가이던스 발표 예상치는 2천억, 실적은 큰 영향 안미칠 것 ▶ 상반기 미국과 국내증시 지수 상승률 비교 - 나스닥/코스닥 거의 같이 움직이는 모습, 상승/하락폭도 유사 - 애플, 6개월동안 계속 양봉 저점 대비 49% 상승 - 엔비디아, 저점 대비 200%이상 급등 - 삼성전자, 저점 대비 30% 급등 - SK하이닉스, 저점 대비 60% 급등 - 상반기는 대형주 상위 종목들이 시장을 이끌었다 ▶ 상반기 미국 주요 지수 상승률 비교 - 7~8월달 역사적으로는 다우 지수는 올랐음, 나스닥보다는 러셀 2000/다우가 7~8월엔 수익률 좋을 것 예상 - 나스닥 상반기 역대 3번째 상승 폭 기록 (+28 69%) - 1975년 (+45 5%), 1983년 (37 1%), 2023년 (28 7%), 나스닥 40년만에 최대 높은 상승을 기록했음 하반기엔 상반기 오른 폭에 30~50%의 조정이 나왔음 - 나스닥과 코스닥 되돌림 반등 구간 비교 - 나스닥, 이번주/다음주가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음 - 코스닥, 2021년 8월에 먼저 고점이 나왔고 작년 10월달에 저점이 나왔음, 2차전지로 4월달에 61 8 살짝 돌파했다가 거기서 밀린 것, 매물이 상당히 많을 것, 이번달에 돌파할지는 모르지만 좌우지간 61 8이 강하다는것은 코스닥/나스닥 공통점 - 코스피 상반기 시가총액 282조원 증가 - 1월 3일 1,753조원, 6월 30일엔 2,035조원 이 중 삼성전자는 100조, SK하이닉스 25조 증가했기에 둔한 움직임 보이는 것 - 코스피, 2,650P이 단기 저항 - 코스닥 상반기 시가총액 104조원 증가 - 1월 3일 313조원, 6월30일 417조원, 2차전지가 한몫 - 코스피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 - 이번달/다음달에 수익이 안난다 하더라도 일정 자금/리스크 관리만 하고 저점 타이밍 잘 잡는다면 상반기에 놓쳤던 수익 하반기에 그 이상의 수익 얻을 수 있을 것 - 하반기로 보면 현재는 상당히 저평가인데 8월달까지 보면 싸지도/비싸지도 않은 자리 - 코스피 투자 주체별 매매현황(단위:억원) - 외국인들이 매수/매도를 안하면 시장을 흘러내릴 수 밖에 없음, 이번달까지 쉬어갈 수 있음, 다음주 만기 지나야 매수 여부 알 수 있을 것 - 코스닥 투자 주체별 매매현황(단위:억원) - 개인이 주도하는 코스닥, 조금 더 관망 필요 - 22년~23년(상반기) 투자 주체별 매매현황 - 외국인이 많이 매수하는 종목군 삼성엔지니어링/두산에너빌리티 등의 종목군들은 지수가 조정 나와서 눌림 나오면 기회 - 예탁금, 어제 하루만에 5조원 빠지는 모습 아직 시장을 불안 - 양 시장 신용융자 현황도 좋지 않음 - 반대 매매가 급증, 주식 담보 대출도 증가세 상반기에 수급적으로 벌어졌던 일 - 양 시장 거래 회전율이 올라갈때 수익이 많이 나는 것인데, 지금 7월 들어서는 바닥을 보이고 있음 종목군 탄력 둔화 - 지금 처럼 거래율이 죽는 상황에서는 짧게 트레이딩 개념으로 접근하다가 시장 분위기 호전될때 적극 대응 필요 ▶ 7월 국내 증시 전망 및 전략 - 7월 만기일 까지 변동성 확대 예상 - 월봉 기준 이격 과열 종목은 비중 조절 - 7월 만기 이후 업종별 수급 변화 예상(구도 변화) - 외국인 및 기관 매수 종목 집중 관심 - 지수보다 종목에 집중하는 전략 #코스피 #코스닥 #에코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