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머크 치료제도 승인...부작용도 경고 / YTN

美 FDA, 머크 치료제도 승인...부작용도 경고 / YTN

[앵커]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머크앤드컴퍼니의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긴급사용을 승인하면서 부작용 가능성도 경고했습니다 유럽 곳곳의 신규 확진자가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독일에서는 오미크론 감염 후 사망한 사례가 처음으로 보고됐습니다 국제부 조수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FDA가 화이자 치료제 사용을 승인한 지 하루 만에 머크사가 개발한 치료제에 대해서도 허가를 내렸군요? [기자] 네, 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머크앤드컴퍼니의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긴급사용을 승인했습니다 다만 부작용 우려로, 여러 제한을 뒀습니다 18세 이하 환자의 경우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이 금지됐고요 임신한 여성에게는 기형아 출산 가능성이 있어 사용을 금지됐습니다 가임기 여성은 치료제 복용 기간과 이후 며칠간 피임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남성의 경우 최종 복용 이후 석 달간은 피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FDA는 노령층과 비만, 심장 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포함해 입원 가능성이 높은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치료제 대안이 없거나 의학적으로 적합한 경우 몰누피라비르 사용을 허가했습니다 또, 이 치료제는 선천적 결손증을 포함한 심각한 안전 문제에 대한 경고를 부착한 상태로 판매될 예정입니다 몰누피라비르는 고위험군 감염자의 입원과 사망률을 낮추는 비율이 30% 정도로, 90% 가까이인 화이자 치료제보다 크게 낮습니다 여기에 부작용 우려도 적지 않아, 제한적인 역할에 머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앵커] 미국에서는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데, 전체 코로나 확진자 발생 추이 어떻습니까? [기자] 미국의 일평균 확진자 수가 델타 변이 확산 당시 최고치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지 시간 22일 기준으로 미국의 일주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는 16만8천여 명으로, 델타 변이가 정점을 기록한 지난 9월 초 평균 16만5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오미크론이 수도 워싱턴DC를 비롯해 뉴욕과 시카고 등 주요 대도시에서 거의 수직적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추세라면 올해가 가기 전에 일평균 확진자 수가 100만 명에 도달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연말 휴가 시즌을 맞아 미국 전역에서 이동이 크게 증가하면서 확산세가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미 교통안전청에 따르면 22일 기준 항공기를 이용한 탑승객은 208만여 명으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날 193만7천여 명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앵커] 유럽 각국에서도 오미크론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확진자 규모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고요? [기자] 네, 프랑스와 영국에서 신규 확진자가 또다시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다음 주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현지 시간 23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만8천 명을 기록했습니다 영국에서도 신규 확진자가 11만9천7백여 명으로, 10만6천여 명으로 증가했던 전날 기록을 또다시 넘어섰습니다 영국에서는 이미 오미크론이 우세종인데,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만6천8백여 명 추가돼 총 9만9백여 명으로 늘었습니다 다만 영국 보건안전청은 오미크론 감염자가 입원할 확률은 델타 변이와 비교해 50~70% 낮다고 밝혔습니다 응급실에 갈 확률은 델타 변이보다 31~45%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월 이후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 감염 사례를 분석한 연구 결과라고 합니다 보건안전청은 이번 분석 결 (중략) YTN 조수현 (sj1029@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