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earch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17회). 고유성질(自性)을 가진 법(法)
#청정도론 #디가니까야 #아비담마길라잡이 #니까야강독 #초기불교의이해 #금강경역해 #초기불전연구원
show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17회). 고유성질(自性)을 가진 법(法)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16회). 법(法)이란 무엇인가
고유성질을 가진 것이 법이다 [각묵스님의 마음이 무엇인가]
각묵스님 - 청정도론 특강 (17회). 제1장 - 계(戒). 계의 해설을 총정리하다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47회).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12연기) - 6. 12연기 가르침의 특징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18회). 초기불교의 진리 - 사성제(四聖諦)
고유성질을 가진 法(법)의 개수는? |각묵스님의 아비담마 길라잡이 3강I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42회).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12연기) - 1. 연기의 가르침과 인연
법의 두 가지 측면, 고유한 성질과 찰나적 성질 [각묵스님 아비담마 길라잡이 3강]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21회). 집성제(集聖諦)는 갈애(渴愛)이다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58회).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 요소(七覺支) - (3).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35회). 존재란 무엇인가 - 12처(六內外處 ) - (1). 육처란 무엇인가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32회). 초기불교와 아비담마는 아공법유(我空法有)를 주장하는가
사후세계? 안 죽어 보고 어떻게 | 각묵스님 | 초기불교 #shorts
17장. 초기불교 수행, 37보리분법 | 사마타와 위빳사나 | 교학과 수행 | 까뀌자루 경 (초기불교이해 제17장 내레이션)
아비담마에서 강조하는 법(法)이란 무엇인가? 법의 두가지 측면 [각묵스님 아비담마 길라잡이 2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