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무 없고 출점도 마음대로…식자재마트에 전통시장 한숨 / KBS뉴스(News)

휴무 없고 출점도 마음대로…식자재마트에 전통시장 한숨 / KBS뉴스(News)

영세상인 보호를 위해 대형마트는 출점에 제한을 받고 격주로 의무 휴업도 하고 있죠 그런데 이른바 '식자재 마트'라 불리는 중대형 슈퍼마켓의 경우엔 별다른 규제가 없어 상인들 간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통시장 바로 옆, 식자재 마트가 운영 중입니다 다양한 식료품과 공산품들을 판매하는데, 규모나 시설 면에서 시장 영세상인들이 경쟁하긴 버겁습니다 [서미선/전통시장 상인 : "저희는 가끔 한번씩 싼 물건을 시장에서 가져올 수 있으면 소비자에게 싸게 드릴 수 있지만 식자재마트는 요일별로 날짜별로 (세일을) 해가지고 아무래도 더 힘든 날이 많아요 "] 현행법은 전통시장 반경 1km 이내를 보호구역으로 정해, 3천 제곱미터 이상 대형마트와 대기업이 운영하는 상점은 함부로 입점할 수 없습니다 이 구역 안에서는 대규모 점포의 입점을 제한해서 전통적인 상권을 보호하자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중대형 슈퍼, 이른바 식자재마트는 출점이 자유롭습니다 휴무일과 영업시간 제한도 받지 않습니다 대형마트가 진출 못한 구석구석까지, 전국에 6만 곳 넘게 들어섰습니다 ["식자재 마트, 결사 반대!"] 생계를 위협받는 전통시장 상인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형우/계산시장 상인회장 : "인근 작은 평수 가게들을 어느 정도 흡수해야 (식자재마트가) 투자한만큼 얻어갈 수 있기 때문에, 도태되는 사람들의 종착역은 어디가 될지 "] 하지만 중형 슈퍼까지 가로막는 건 과도하단 주장도 나옵니다 [홍춘호/한국마트협회 이사 : "서민생활 경제를 차지하고 있는 상권과 골목상권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판단이거든요 (대기업) 이런 것들이 먼저 규제가 되고, 대중소가 균등하게 균형을 가질 수 있는 시장 안에서 "] 자산과 매출이 큰 매장은 대형마트와 똑같이 규제하자는 법안이 제출됐지만, 논란 속에 처리는 불투명합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