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도시 꿈꾼다…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준비 박차 [전국네트워크]

스포츠 도시 꿈꾼다…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준비 박차 [전국네트워크]

【 앵커멘트 】 어느 해보다도 길게만 느껴지는 이번 겨울이 가고 봄이 오면 경북 구미에서는 아시아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가 열립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업도시에서 이제는 스포츠 문화 도시로 변신을 도모하고 있는 구미시의 김장호 시장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시장님 안녕하십니까? (네, 반갑습니다) 【 질문 1 】 네, 어서 오십시오 먼 길 오셨습니다 5월 27일이죠 말씀드린 것처럼 아시아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가 열리는데, 이게 어떤 대회인지부터 일단 여쭤볼게요 【 답변 】 아시아 육상 선수권대회는 아시아인들의 어떤 축제이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인천 다음으로 20년 만에 개최가 됩니다 개최가 되고, 45개국이 참여하고, 한 1,200명의 선수와 임원들이 오게 되고요 사실상 아시안 게임보다도 평가 등급이 더 높은 대회입니다 그래서 우리 구미시로서는 이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서 아시아와 대한민국 또 구미시가 아시아의 도시들 속에 소개되는 그런 기회를 잡고자 합니다 【 질문 2 】 올해 구미 일정 가운데는 그러면 제일 큰 거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겠어요? 【 답변 】 구미시로 봐서는 세계적인 대회이고 해서 잘 준비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질문 3 】 예, 준비 상황 정리 좀 해 주시죠 【 답변 】 우리 시설이라든지 이런 거는 다 리모델링 하고 있고요 또 우리가 도시를 아시아인들에게 좋게 명품 도시를 알려야 되겠다, 해서 도시에 대한 도색이라든지 리모델링 사업을 하고 있고 또 음식점이라든지 숙박업소 이런 데 대한 쾌적한 이미지를 주려고 지금 각 단체와 함께 지금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 질문 4 】 그렇지 않아도 예쁜 구미가 더 예뻐진다 이렇게 생각하면 되나요? 【 답변 】 예, 그렇습니다 그래서 우리 구미가 우리 아시아의 명품 도시라는 것을 좀 소개하고 싶다, 이런 욕심이 있습니다 【 질문 5 】 말씀하신 것을 들어보면 4,500명 정도가 온다는데 숙박 시설이 모자란다거나 아니면 뭐 또 사실 4,500명 이외에도 보러 가는 사람들도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을 거 아닙니까? 그분들 맞을 준비도 다 됐다는 얘기죠? 【 답변 】 아시아 육상 대회의 붐을 조성하려고 거기에 아시안 푸드 페스타라든지, 또 케이팝 공연이라든지, 3월에는 박정희 마라톤 대회라던지, 이런 걸 해서 우리 국내 우리 관광객들에도 붐을 일으키고요 이런 걸 통해서 우리 전국에 있는 스포츠 또 육상 선수들 많이 구경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질문 6 】 단순히 달리기하는 사람들만 오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사람들도 와서 그러면 구미 가서 뭐 맛있는 거, 뭐 재미있는 거 볼 수 있는지, 그것부터 좀 자랑을 해 주시겠습니까? 【 답변 】 우리 구미는 그동안 좀 산업 도시라 해서 일만 하는 도시로 알려졌는데 (왠지 공장 같은 느낌이 좀) 강하긴 해요 이제 최근에 많이 알려졌습니다만, 라면 축제라던지, 그다음에 또 푸드 페스티벌 또 낭만 야시장 이런 것들을 통해서 지난해에도 한 60만 명이 다녀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이 육상선수권대회 기간에 달달한 낭만 야시장도 개최하고 말씀드린 대로 K-팝 페스티벌도 하고 이렇게 해서 볼거리를 많이 제공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질문 7 】 어디, 어디 가봐라 좀 추천해 줄 만한 데는 없나요? 【 답변 】 우리 구미는 뭐 작지만 금오산이 명산이 있고요 또 그때 되면 우리 지산 샛강이라고 있는데, 거기에 뭐 맨발 길도 해 놓고 포토존도 있고 굉장히 아기자기하게 해놨습니다 【 질문 8 】 알겠습니다 올해 구미는 어떻게 변하는지, 시장님 구미 이렇게 끌어보겠다, 하는 게 있을까요? 【 답변 】 우리 구미가 그동안 한 국가 산업 단지로서 한 50년 동안 산업화에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이제 앞으로 50년은 구미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그 시기다, 이렇게 보고 구미가 낭만, 문화도시를 좀 만들어보자 여기에 전력을 하고 있습니다 【 질문 9 】 그러니까, 산업화한 도시 이미지에서 이제는 문화 도시로 가보자, 좀 구체적인 얘기 좀 해주시죠? 【 답변 】 그렇게 해서 구미는 미술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곳곳에 조각 페스티벌이라든지 그다음에 복합 문화 공간을 또 조성한다든지(도시 전체를 미술관처럼 만들어보고 싶다, 이런 의미인가요?) 그렇게 한번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만 단순히 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서 힐링하고 또 문화 예술을 즐기고 또 그런 것들이 지방에서도 부족하지 않은 그런 공간을 만들어 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질문 10 】 금방 나온 라면해서 라면 축제에서 사람들 엄청 모으셨다고 그러던데 라면 축제 올해도 또 열리는 건지, 하고 싶은 사람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 답변 】 작년에 이제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 레스토랑 해서 많은 인기를 끌었고 지역의 이색 라면, 명품 라면이 15개 쉐프님들이 선보였는데요 이 축제 아닌 기간에도 우리가 그 식당에는 그 요리가 지금 사시사철 메뉴가 있습니다 그래서 맛을 보는 거죠 그런 것도 있고 올해에도 더 알찬 프로그램으로 전 국민에게 이색 라면과 명품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지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질문 11 】 소상공인들 많이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 지역 경제 살리시려고 준비들 또 하고 계시다면서요? 【 답변 】 지금 민생 경제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구미시에서는 최근에 비상경제TF 대책회의를 통해서 자영업 소상공인 특히 중소기업 이런 분들이 어떻게 하면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느냐, 그래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고 또 시책을 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우리가 중소기업은 2차 보전을 많이 늘리는 걸 기본적으로 하고 있고, 그 외에도 신용보증 수수료를 저희가 지원을 하려고 올해부터 하고 있고요 소상공인 경우에는 출산 때문에 만약에 한다면 가게를 문을 닫아야 합니다 그래서 아이 보듬 사업이라고 해서 소상공인은 6개월 동안 1,200만 원 정도 지원해 줄 수 있는 대체 인력비를 저희가 준비를 하고 있고요 그 외에도 신용카드 수수료 이런 지원 사업도 하고 있고요 뭐 다양하게 지금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고 올해에도 공격적으로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질문 12 】 구미 출산율은 어떤가요? 아이 키우기는 괜찮은 도시인가요? 【 답변 】 예, 뭐 지방이 다 그렇습니다만, 최근에 한 12년 동안 계속 출산율이 떨어졌습니다 떨어지다가 작년이 그전에 비해서 한 122명 출산이 늘어나는, 줄다가 턴을 하는 이런 현상이 발생했고요 우리 구미시는 이제 출산, 아이, 보육 여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태어나야 하기 때문에 신생아 집중치료센터를 병원과 협약을 해서 인큐베이터라든지 전문 치료 기기를 설치하니까, 굉장히 안전하게 태어나고 또 산모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있고 또 산모들은 우리는 K-맘 택시라고 해서 기본요금 1,100원만 내면, 시내에는 한 달에 10번 정도는 다닐 수 있도록 우리가 서비스를 콜 택시 서비스를 하고 있고 또 산후조리비도 지원하고 있고 이런 걸 통해서 임산부와 산후조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렇게 생각하고요 그러면 아이가 태어나면 영아들을 어떻게 할 거냐, 보육의 문제인데 어린이집도 야간 어린이집 또 돌봄센터 이런 걸 통해서 10분 거리 내에 24시간 돌볼 수 있는 체계를 갖춰놨습니다 그래서 젊은 부모들이 잠시 아이를 맡기고 잠시 경력 단절이 되지 않도록 일을 할 수 있도록 쉼도 좀 할 수 있고, 이런 시스템을 갖춰서 그래도 보육에 우리 부모님들이 부담을 덜어 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질문 13 】 알겠습니다 먼 길 오셨는데 우리 MBN 시청자분들하고 구미 시민들께 '2025년도에 구미는 이렇게 변해갈 것입니다'라는 얘기 좀 해 주시죠 【 답변 】 구미는 이제 미래 50년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신공항과 연계해서 고속도로 철도 이런 것들이 국가 차원에서 타당성을 지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되면 다시 구미가 산업 쪽으로도 활성화되어서 일자리가 늘어나고 또 거기에 플러스해서 낭만이 있고 문화가 있는 도시로 그렇게 해서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도록 해 보겠습니다 【 앵커멘트 】 알겠습니다 회색 산업 도시에서 이제는 낭만이 흐르는 문화 스포츠의 도시로 변해가는 경북 구미의 김장호 시장님 모시고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네 감사합니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