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거노인 가구 비율은 어떻게 달라질까? #shorts
안녕하세요 통계로 보는 지방자치 통계치입니다 오늘은 독거노인가구비율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독거노인가구 비율이란 전체 일반가구 중 혼자 살고 있는 노인가구의 비율을 뜻하는데요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노인들의 생활 질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혼자 사는 노인의 경우 대부분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어려움에 직면하는데요 2022년 독거노인가구 비율은 어떻게 될까요? 독거노인가구 비율이 높은 곳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5위는 경남 11 2% 4위 강원도 12 2% 3위 전북 12 8% 2위는 경북입니다 13 1% 1위는 전남 15%입니다 그렇다면, 독거노인가구 비율이 낮은 곳은 어디일까요? 5위는 인천입니다 7 7%네요 공동 4위는 서울과 울산으로 7 5%입니다 2위는 경기도입니다 6 7%입니다 1위는 바로 세종시입니다 4 6%로 가장 낮은 독거노인가구비율을 나타냈는데요 전국 독거노인가구비율은 9 1%로 세종시는 전국비율보다 절반 가까이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 ○ 통계표ID DT_1YL12701 ○ 통계표명 독거노인가구비율(시도/시/군/구) ○ 조회기간 [년] 2022~2022 ○ 출처 통계청(인구총조사과) ○ 자료다운일자 2024 07 05 13:08 ○ 주석 통계표 ■ 자료제공처: 통계청 지역통계기획팀 ■ 자료원출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인구총조사) ■ 자료제공주기: 1년 ■ 다음자료현행화: 조사기준년도 익년9월 □ 정의 - 독거노인가구비율: 전체 일반가구 중 혼자 살고 있는 노인가구의 비율 □ 의의 -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노인들의 생활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로 혼자 사는 노인의 경우 대부분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사회관계 측면에서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 노인들의 삶의 질 측정에 중요한 지표임 □ 산식 - 독거노인가구비율(%)=(65세이상 1인가구 수÷전체 일반가구 수)×100 □ 용어 - 일반가구: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5인 이하의 가구 □ 참고사항 - 집단가구 및 외국인가구 제외 - 일반가구 내 외국인도 포함 - 매년 7 1 시점의 자료이며, 작성대상 인구는 국적과 상관없이 대한민국에 상주하는 인구임 - 인구총조사 등록센서스 실시로 2015년 부터 1년단위로 자료제공 행정구역별 - 시도 세종특별자치시: 2012 7 1 부로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 청원군 일부를 통합하여 출범 - 시 경남 창원시: 2010 7 1 부로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창원시로 통합 충남 당진시: 2012 1 1 부로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 경기 여주시: 2013 9 23 부로 여주군이 여주시로 승격 충북 청주시: 2014 7 1 부로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 - 구 인천 미추홀구: 2018 7 1 부로 남구가 미추홀구로 명칭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