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8. 국어 "선택과목 격차 줄이려   최선"‥난이도 어땠나

2021. 11. 18. 국어 "선택과목 격차 줄이려 최선"‥난이도 어땠나

[EBS 글로벌 뉴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특집으로 전해드리고 있는 EBS 뉴스, 이번에는 전문가와 함께 출제 경향과 난이도를 분석해보겠습니다 EBS 대표강사, 윤윤구 선생님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대훈 기자 수능출제본부에선 올 수능의 출제 목표를 변별력보단 교육과정 정상화에 뒀다고 발표했습니다 1교시 국어는 지금 시험지가 공개됐는데요 실제 난이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윤윤구 EBS 대표강사 / 서울 한대부고 교사 9월 모평에서 난이도 조절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것을 생각하면, 실제 수능은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최근 모평 결과들을 토대로 보면 재학생에게는 다소 어렵게, 재수생에게는 평이하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황대훈 기자 국어는 처음으로 선택과목이 도입됐습니다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두 가지죠 출제본부는 난이도 격차를 줄이는데 주력했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어땠습니까 윤윤구 EBS 대표강사 / 서울 한대부고 교사 두 과목에 있어서 대체로 언어와 매체의 난이도가 높고, 화법과 작문의 난이도가 낮게 나타나게 됩니다 6월과 9월에서 나타난 선택 과목 간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평가원에서 노력을 했겠지만, 현실적으로 두 과목의 유불리를 조정하는 것은 과목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9월 모의평가에서 국어가 쉽게 출제되면서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줄어들었지만, 1등급의 비율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수능 난이도를 고려했을 때, 표준점수 최고점의 차이는 6월 모평 수준으로 5점 정도, 1등급의 비율 격차는 9월 모평 수준으로 적당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황대훈 기자 언어와 매체는 자연계, 화법과 작문은 인문계 학생들이 많이 선택합니다 6월과 9월 모의평가 1등급 비율에선,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들, 그러니까 자연계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하죠 실제 수능에서도 이런 현상이 이어질 거라고 보십니까 윤윤구 EBS 대표강사 / 서울 한대부고 교사 9월 모평을 기준으로 1등급을 받은 학생 중 언어와 매체 선택자가 81 6% 수준입니다 6월의 66% 수준을 생각하면 선택과목 간 유불리가 더 심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표준점수의 최고점 차이가 6월 모평의 5점에서 9월 모평 3점으로 줄어들었음에도 1등급의 비율은 격차가 더 늘어났습니다 이런 상황들을 고려해보면 실제 수능 결과에서도 최소 70% 수준, 실제로는 9월 모평 수준인 80% 수준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수능 이후에는 이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성적표가 나오기 전까지 점수 예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하지 않고 있는 점수 부여 체계와 관련된 정보 공개의 요구도 거세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황대훈 기자 예년과 비교해, 국어 영역의 출제 경향엔 어떤 특징이 있었습니까 윤윤구 EBS 대표강사 / 서울 한대부고 교사 공통+선택 과목이라는 첫 번째 유형의 수능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 됩니다 점수의 예상이나, 난이도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지만, 국어에서 선택 과목을 어떻게 선택했느냐에 따라서 어느 정도 결과가 예측되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좀 구조 자체가 아쉬움이 많은 수능 형태이긴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공통과목에서의 변별력 확보하고, 선택과목 간의 유불리 문제를 피하기 위한 고난도 문항들이 다소 출제되고 있는 편입니다 독서파트가 여전히 핵심 변수가 되는 가운데, 화법과 작문, 문학 영역에서 신유형과 고난도 문항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황대훈 기자 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