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결국 위성 발사 감행...추가 도발 가능성은? / YTN
■ 통화연결 :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굿모닝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우주발사체를 쏘아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8월 재발사에 실패한 지 89일 만입니다 관련 내용, 오늘 전문가와 같이 짚어보겠습니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과전화연결 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김열수] 안녕하세요 [앵커] 실장님,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우리 군은 아직 북한의 성공 여부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는데 성공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 [김열수] 북한이 1차 발사했을 때, 그리고 2차 발사했을 때 실패했을 때는 거의 2시간 정도 있다가 실패했다고 자기네들이 발표했잖아요 그런데 이번에는 자기네들이 성공했다고 발표를 했는데 제가 볼 때는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을 하고요 그리고 일단 궤도에 진입은 했지만 이것이 궤도를 제대로 도는지는 좀 더 봐야 되겠지만 적어도 현재까지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그렇게 추정이 됩니다 [앵커]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지금 이 성공은 어떤 의미로 봐야 될까요? [김열수] 정찰위성이라고 하는 것이 결국 상대방이 군사적으로 움직이는 목표물들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획득하겠다는 거잖아요 그런 차원에서 보면 앞으로 북한이 가지고 있는 핵, 미사일의 그런 정밀도 그걸 높이는 데 굉장히 이게 위험해졌다, 이렇게 볼 수가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3차 성공을 발표하기까지 6달 동안 세 차례나 쐈습니다 이렇게 서두르는 이유가 뭐라고 보십니까? [김열수] 이게 크게 보면 중장기적으로 볼 수도 있고 단기적으로 볼 수도 있는데요 중장기적으로는 김정은이 2025년까지 다량의 미사일을 확보하라고 그랬거든요 그래서 이제 올해 3월달에 국가우주개발국 현지 지도를 나가면서 그때 당시 얘기한 것이 2025년까지 다량의 정찰위성을 발사해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태평양상에 있는 미군에 대해서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획득하라고 했기 때문에 거기에 따라서 지금 벌써 2023년이 거의 다 가고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앞으로 2년 동안에도 계속해서 많은 다량의 정찰위성이 발사될 가능성이 있고요 장기적인 차원을 보면 이렇습니다 한국이 다음 주죠, 11월 30일날 미국의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한국 최초의 정찰위성 1호를 발사하지 않습니까? 올해 1기를 발사하고 내년에 4기를 발사하는데 한국보다 조금 먼저 발사해야 되겠다는 경쟁심리도 작동했을 거고요 또 하나는 연말에 가면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하게 되는데 결국은 북한으로 봐서는 연말총화죠 그런데 특별히 내세울 게 없으니까 아마 이것 때문에 이번에 발사를 성공시켜서 연말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성공적으로 끌고 가겠다, 그런 생각이 있었지 않겠는가라고 봅니다 [앵커] 앞서 북한이 20일 0시부터 12월 1일 0시 사이에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 이렇게 통보를 했는데 어젯밤에 발사를 진행했습니다 예고 시간보다 조금 앞서서 조금 이른 시각에 쏜 배경도 궁금한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김열수] 분석한 걸 보니까 미국이 혹시 격추할까 봐 조금 일찍 쐈다고 얘기하는데, 이건 너무 나간 얘기고요 그건 설령 제 시간에 쐈다고 하더라도 그럴 리는 아마 없었을 거고요 제가 볼 때는 날씨가 굉장히 결정적인 변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