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도시와 섬이 전시관으로…제1회 통영 국제트리엔날레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5oTVOglCPU8.webp)
[출근길 인터뷰] 도시와 섬이 전시관으로…제1회 통영 국제트리엔날레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출근길 인터뷰] 도시와 섬이 전시관으로…제1회 통영 국제트리엔날레 [앵커] 제1회 [통영 국제트리엔날레]가 오늘 개막해 5월 8일까지 대장정에 들어갑니다. 통영의 섬과 바다를 배경으로 세계 각국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인데요.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강석주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을 만나 통영 국제트리엔날레 개최 의미 들어보겠습니다. 통영 현장에 나가 있는 정다윤 캐스터 나와주시죠. [캐스터] 출근길 인터뷰입니다. 오늘은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을 만나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십니까?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안녕하십니까? [캐스터] 가장 먼저 통영국제트리엔날레 오늘 첫선을 보이는데 어떤 행사인지 전반적인 설명부터 부탁드립니다.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3월 18일 오늘 개막하는 2022 제1퇴 통영국제트리엔날레는 통영의 역사와 예술적 가치를 담아 시작하는 국제예술제입니다. 통영 섬, 바람을 주제로 미술, 음악, 무용,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선보이는 이번 행사는 섬을 매개로 한 국내 최초의 통합형 트리엔날레로서 통영 일대뿐 아니라 한산도, 사량도, 연화도 등 통영의 아름다운 섬에서도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캐스터] 그렇다면 특별히 이곳 통영에서 국제트리엔날레를 준비하게 된 배경도 궁금합니다.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통영은 작곡가 윤희상, 소설가 박경리, 화가 전영임 등 수많은 예술인이 탄생한 예술의 산실이자 조선시대 약 300년간 3도 수군을 총괄했던 해군본부로 역할을 해 온 곳입니다. 통영과 나전칠기 등 오랜 뿌리가 그 명맥을 이어오는 곳이자 13명의 중요무형문화재가 터전을 일구고 있습니다. 통영 지역 경제의 근간이었던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통영의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위한 계기가 필요했고 이번 통영국제트리엔날레를 통해서 통영의 관광산업과 문화예술이 새롭게 조명되고 부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캐스터] 그럼 오늘부터 개최되는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 다양한 프로그램도 소개 부탁드립니다.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이번 트리엔날레의 메인 전시는 시간을 주제로 총 18명 작가가 선보이는 주제전 테이크 유어 타임입니다. 기획전으로는 통영이 낳은 예술가 전영임 특별전, 김승수 화백의 옻칠 특별전, 공예특별전, 예술가레지던시 전시회도 열립니다. 이외에도 한산도, 사랑도, 연화도에서 섬 연계전이 개최되고 지역의 16개 문화예술단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도 통영국제트리엔날레 기간 중에 통영에서 개최됩니다. [캐스터] 그러면 이 통영국제트리엔날레 어떻게 하면 잘 즐길 수 있을지 팁도 소개 부탁드립니다.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이번 통영국제트렌날레는 신규 건축이 만나도 없는 동반형 재생트렌날레로써 통영 전체가 하나의 미술관이라는는 콘셉트로 다양한 장소에서 프로그램을 만나실 수 있도록 준비를 했습니다. 옛 조선소 공간이 전시장이 되고 또 카페가 영화관이 되고 오랜 골목이 공연장이 되는 등 이색적인 공간에서 문화예술에 흠뻑 빠질 수 있는 그런 좋은 시간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캐스터] 전해 주신 팁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강석주 /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이사장] 감사합니다. [캐스터]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