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사이드] ‘화웨이 압박’…미·중 IT 산업 쟁탈전? / KBS뉴스(News)

[경제 인사이드] ‘화웨이 압박’…미·중 IT 산업 쟁탈전? / KBS뉴스(News)

캐나다에서 체포됐던 중국 화웨이 멍완저우 부회장이 보석으로 풀려났습니다 하지만 캐나다에 머물며 법정 출석을 해야 하는 등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이번 멍완저우 부회장 체포를 두고 미국이 중국 IT산업을 견제하기 위해 선제공격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자세한 이야기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화웨이 멍완저우 부회장, 미국의 이란제재 위반으로 체포됐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명목은 이렇지만 미국의 속내는 따로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변] 미국은 현재 핵 문제 때문에 모든 국가의 對이란 거래를 제재하고 있잖아요? 이번 화웨이 부회장 체포도 미국에선 책임자 멍완저우 부회장이 스카이콤이란 사실상 화웨이의 자회사를 통해서 미국이 제재하고 있는 이란과 거래했기 때문이지 딴 뜻은 없다고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시장에선 미국의 실제 속내는 최근 달아오르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냐면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이 캐나다에서 체포됐지만, 그 이유가 미국정부가 요청(이란 제재위반 혐의에 따른 범인인도요청)했고, 또 그 시점이 미 중간의 무역전쟁을 이제 좀 휴전하자 하고 합의한 지난 1일이죠 바로 그 직후에 터진 일이라서 특히 그런 분석이 설득력을 갖는 거 같습니다 사실 이번 계기로 미·중이 관세전쟁에서 IT 기술 전쟁으로 급선회하는 거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이 체포를 요구했던 멍완저우가 중국 최고 통신업체 화웨이의 부회장 겸 최고재무책임자이기 때문이죠 화웨이란 기업이 어떤 기업인가요? [답변] 화웨이는 중국 최고의 IT 통신업체, 우리나라로 비교하면 중국의 삼성전자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런정페이라는 창업자가 1987년 창업했으니까 30년 남짓 됐는데요 30년 만에 전 세계 통신업계에서 시장점유율 22%로 세계 1위, 경쟁사인 2위 핀란드 노키아가 13%니까 두 배 가까운 압도적 1위죠 또 휴대폰시장에서도 삼성전자 19%에 이어 13%, 애플을 젖히고 2위로 올라섰습니다 매출액이 작년 기준 920억 달러(104조 원)로 텐센트와 알리바바(이들 업체는 시가총액으로 아시아 1, 2위인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업체) 이들 둘을 합친 것보다 많고, 그중 절반 이상이 해외수출로 벌어들인다고 합니다 또 화웨이는 국제특허출원 세계 1위이고 R&D 연구개발비중이 매출액 대비 15% 대단히 높은 비중을 투자하고 있는 거로 유명해서 중국 이노베이션의 상징이라고까지 얘기하고 있죠 특히 최근 5G(5세대 통신)분야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해서 미국, 중국 IT 강국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잖아요? 5G에서 화웨이가 글로벌 강자로 뛰어오르고 있고, 또 화웨이란 중국말의 뜻이 화(중국, 중화)+웨이(위하여 또는 중국이 한다)여서 중국 애국주의, 중국정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단 얘기도 있어서 특히 미국이 신경을 쓰는 거 같습니다 말씀하셨듯이 이번 사태로 미국이 중국, 특히 화웨이를 중심으로 심각한 견제에 들어갔다 할 수 있겠죠 미국이 중국의 화웨이를 공격한 건 결국, IT 기술에 대한 패권 다툼인가요? [답변] 그동안 미중 무역전쟁이다 따라서 서로 세금폭탄을 매기는 관세전쟁이라고 했지만, 사실시장에선 이건 미중간의 경제패권전쟁이고 경제패권은 핵심기술 경쟁력에서 나오기 때문에 밑바닥에 깔린 건 기술패권전쟁이란 얘기들이 나오고 있었죠 실제 미국이 지난 5월인가요 첫 번째 중국에 대해 25% 추가 관세폭탄을 터뜨릴 때, 그 대상을 보더라도 100% 중국의 10대 미래기술육성분야(제조 20205분야라고도 하죠)에 집중됐었거든요 지금까지는 아마도 무역전쟁 이면엔 기술다툼이 있을 거라고 추측해왔는데요 지난 4월에도 미국이 ZTE(중국이름으로 중흥통신)가 對이란제재법을 위반했다고, 미국기업에 대한 부품공급을 금지했다가, 시진핑주석의 요청으로 플어줬었잖아요? 그 때 ZTE에 대한 공격이 몸풀이 연습이었다면 이번 화웨이 공격은 본 게임이라고 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