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페이'는 이제 그만!...상생 모색 해야 / YTN

'열정페이'는 이제 그만!...상생 모색 해야 / YTN

[앵커] 심각한 취업난 속에, 청년들의 열정을 이용해 노동력을 착취한다는 '열정페이'란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일 경험이 있는 청년 절반 이상이 열정페이를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해외 공관에서 일한다는 부푼 마음을 안고 자비를 들여 출국한 대학생 A 씨. A 씨는 한 대사관에서 사무 보조로 일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되돌아옵니다. [A 씨, 열정페이 경험자] "전화 교환하고 신문이나 우편물 배분하고…. 여느 (인턴) 공고와 비슷한 공고 보고 갔는데 실제로 하는 일은 그거랑 관련 없는 일이었어요." 이처럼 젊음이란 열정을 이용하면서 정당한 대가를 주지 않거나 배우는 것도 없는 '열정페이'를 경험한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한 조사 결과, 설문 대상 청년 절반 이상이 열정페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10명 중 7명은 일반 직원과 유사한 일을 했지만 급여는 최저임금 미만이거나 아예 못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 청년들 열정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간당 5,580원인 최저임금을 만 원까지 올려야 한다는 겁니다. [김민수, 청년유니온 위원장] "청년들이 오늘 하루를 생존하기 위해서 급급하다가 내일이나 내일모레를 설계할 수도 없고 희망을 품을 수도 없는 상태가 지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용 문화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신용한,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장] "이제는 고용주와 피고용주가 합심해서 함께 성장한다는 개념으로 '윈윈 페이'가 될 수 있도록 사회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직업 분야에서 열정페이 논란이 있을 정도로 사회 문제화된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김승환[ksh@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50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