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는 BTN] 한국의 명찰 – 소백산 용문사 (1995년제작)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윤장대가 있는 곳.](https://poortechguy.com/image/9CRFmX2p2qM.webp)
[다시보는 BTN] 한국의 명찰 – 소백산 용문사 (1995년제작)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윤장대가 있는 곳.
#한국의명찰 #용문사 #윤장대 [다시보는 BTN] 한국의 명찰 – 소백산 용문사 (1995년제작) 1995년 BTN불교TV 개국 당시 제작된 소백산 용문사 다큐멘터리입니다 소백산 용문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입니다 《김룡사본말사지 金龍寺本末寺誌》에 따르면 신라시대 870년(경문왕 10)에 두운(杜雲)스님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합니다 두운스님이 이 산의 동구에 이르렀을 때 바위 위에서 용이 영접하였다 하여 절 이름을 용문사라 하였으며 절을 짓기 시작하였을 때 나무둥치 사이에서 무게 16냥의 은병(銀甁)을 캐어 공사비에 충당하였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1478년(성종 9) 소헌왕비(昭憲王妃)의 태실(胎室)을 봉안하고 1480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중수하여 성불산 용문사라 하였으나 1783년(정조 7) 문효(文孝) 세자의 태실을 봉안하고는 다시 소백산 용문사로 고쳤습니다 1835년(헌종 1) 불이 나서 폐허화된 것을 열파(悅坡)·상민(尙敏)·부열(富悅) 등의 여러 스님들이 힘을 모아 1840년대에 공사를 마쳤습니다 이 절에는 세 가지 이적이 있었는데 첫째는 두운스님의 창건 때 용이 영접한 일이고 둘째는 은병을 캐어 절을 공사비에 충당한 일이며 셋째는 절의 남쪽에 9층 청석탑(靑石塔)을 세우고 사리를 봉안할 때 4층탑 위로 오색구름이 탑 둘레를 돈 일입니다 문화재로는 윤장대(輪藏臺:국보 제328호) 용문사 교지(보물 729) 목불좌상 및 목각탱(木刻幀:보물 989) 대장전(大藏殿:국보 제328호) 자운루(경북문화재자료 169)가 있으며 그밖에 현존하는 당우로 진영각(眞影閣) 명부전(冥府殿) 응진전(應眞殿) 회전문(廻轉門) 범종루 강원 천불전(千佛殿) 일주문 요사채 두운암(杜雲庵)과 1984년 화재로 모두 불탔다가 복원된 보광명전(普光明殿) 응향각(凝香閣) 단하각 해운루 등이 있습니다 윤장대 국보 제328호 높이 4 2m, 둘레 3 15m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회전식 경장(經藏)으로, ‘전륜장(轉輪藏)’이라고도 불립니다 보광명전 왼쪽의 대장전(大藏殿)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불단(佛壇)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대칭하여 각각 1기씩 놓여 있다 곧 불단 앞의 좌우 마룻바닥을 단면 8각으로 뚫고 회전축을 세운 뒤, 지도리를 놓아 경장을 받치고 회전축을 천장에 고정시켰습니다 경장은 단면이 8각으로, 치밀하면서도 정교하게 짠 공포(栱包)를 놓고서 겹처마의 팔작지붕을 올린 다포(多包)계 건물의 모습입니다 곧 각 면에는 문이 하나씩 달려 있어, 마치 8각의 목조건물을 축소해 놓은 것처럼 보인다 회전이 잘 될 수 있도록 팽이 모양으로 뾰족하게 만든 아랫부분은 기둥과 상인방(上引枋), 창방(昌枋) 사이에 돌려 붙인 연이은 덩굴무늬의 파련각(波蓮刻) 장식인 낙양처럼 조각하였고, 한쪽 모서리에는 길다란 손잡이를 두어 경장을 돌릴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손잡이의 윗부분에는 각 면마다 난간과 함께 문짝을 달았습니다 난간은 24개의 연잎[荷葉]으로 꾸며져 있고, 각 면의 문짝에는 작은 자물쇠 고리가 달려 있습니다 특히 8면의 문짝은 좌우로 무늬가 다른데, 한쪽의 4개 문짝은 아름다운 꽃무늬 창살로 장식된 반면, 다른 한쪽의 4개 문짝에는 빗살무늬 창살이 면을 도려낸 투조(透彫) 기법으로 정교하게 꾸며져 있습니다 문짝을 열면, 각 면마다 서가(書架)와 같은 단을 두어 경전을 넣고 꺼내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윤장대는 대장전이나 장경각(藏經閣)처럼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곳이지만, 그 자체가 신앙의 대상인 불교 공예품이기도 합니다 현재 기록이나 파손된 몇몇의 사례를 찾아 볼 수는 있지만, 특이한 모습을 갖추고서 완벽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은 용문사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문사중수비(龍門寺重修碑)」에는 1173년(명종 3)에 자엄대사(資嚴大師)가 대장전과 윤장대를 건립하였다고 하였지만, 사적기(事蹟記)에는 1670년(현종 11)에 고쳐 수리하였다고 하였으므로, 윤장대는 1670년 쯤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BTN 붓다회 가입 1855-0108(정기후원) 불자여러분의 정기후원이 부처님법을 널리 홍포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BTN불교TV는? BTN불교TV(주)는 25년의 시간 동안 부처님의 법음을 널리 홍포해온 한국을 대표하는 불교방송국입니다 불자님들의 소중한 후원금과 광고수입은 더 나은 방송 포교와 불교문화 진흥,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BTN은 앞으로도 방송 포교사의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BTN불교TV 채널번호 안내 IPTV: KTolleh:233번, SK B TV:305번, LGU+TV:275번(전국공통) SKYLIFE: 181번(전국공통) 지역케이블: 케이블 가입자의 경우 BTN채널번호가 지역별로 달라서 아래 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경로로 BTN불교TV를 만나보세요! 홈페이지: 유튜브: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