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 구매 후 5년이 지났다면, 구매 시 샀던 채권 환급 받으세요(올해부터 PC,모바일로 금액 확인/환금신청 가능)(현재 미환급된 채권 금액 규모는 2,391억 원!!!)
자동차를 구매할 때는 지역개발채권이나 도시철도채권 등 '의무 채권'을 매입을 해야 합니다 지자체별로 다르긴 하지만 서울의 경우 2천씨씨 미만의 승용차의 경우 가격의 12%나 되는 규모인데요 이러한 채권은 통상 만기가 5년에서 7년입니다 즉, 자동차 구입 할 때 같이 구매한 채권의 경우 5에서 7년의 만기가 지나면 원금 및 이자를 환급받을 수 있다는 것인데요 많은 사람들이 이 정보를 모르고 있어, 채권 소멸시효가 지나 사라지는 채권면 연간 20억 원 규모이며, 이렇게 채권자가 환급을 청구하지 않은 금액이 2,391억 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올 해 3월부터 은행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서 내가 돌려받아야 할 미상환채권이 있는지 확인하고, 환급금을 바로 신청할 수 있도록 써비스를 한다고 합니다 지역별로 금고은행과 신청방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지금 올려놓은 사진을 꼭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물론 차를 구매할 때 채권을 구매하는 것이 의무이긴 하나, 차량 구매를 할 때 일시적으로 목돈이 들어가다보니, 공채매입을 선택하기 보다는 채권을 바로 판매해버리는 공채할인이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차량 딜러들도 이러한 방식으로 대부분 유도를 합니다 즉, 나중에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채권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차량 구매할 때 몇 십만 원의 선급이자를 내버리는 건데요 이러한 분들은 채권을 바로 팔아버렸으므로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그러니 본인이 공채할인을 선택하신 것이 분명하다면, 굳이 시간을 내서 은행에 들어가서 확인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기억이 애매모호한 경우, 밑져야 본전이므로 한 번 검색이라도 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2,391억이 쌓여 있다고 하니까요 #3분 #시사 #생활 #상식 #정보 #뉴스 #꿀팁 #아이디어 #유용한 #쓸모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