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자율운항 선박 출항…“세계 표준 이끈다” / KBS  2024.09.26.

첫 자율운항 선박 출항…“세계 표준 이끈다” / KBS 2024.09.26.

[앵커] 갈수록 부족한 선원에 치솟는 운항 요율, 여기에 항해 중 사고까지 해운 선사의 고민이 깊은데요, 이를 단번에 해결할 방안이 '자율운항'입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 기술력의 첫 자율운항 컨테이너선이 최근 부산에서 출항했습니다 그 의미를, 노준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1,800TEU급 중소형 컨테이너선 '포스 싱가포르호' 길이 165m, 높이 14m 규모에, 시속 36km까지 운항할 수 있고, 승선원은 22명입니다 여느 컨테이너선과 달리, 선박자동식별장치 2대와 레이더 2대, 고성능 카메라 4대에 자체 통신장비가 달려 있습니다 운항 중 인공위성을 통한 다른 선박 확인은 물론 항로에 갑자기 나타난 물체를 감지해 선박 스스로 방향을 바꾸는, 지능항해 시스템도 갖추고 있습니다 개발비 천6백억 원이 투입된 바다 위 자율주행 차, 국내 최초 '자율운항' 컨테이너선입니다 [신재호/팬오션 해사기술실장 : "수집하는 빅데이터를 통해 포스 싱가포르의 위치, 연료 소모량 등을 실시간 파악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최적의 항로를 선정할 수 있고요 "] 부산항 북항에서 첫 닻을 올린 포스 싱가포르호는 앞으로 1년 동안 한국~동남아 항로를 운항합니다 전체 운항 약 500시간 중 갈 때 30분, 올 때 30분, 이렇게 1시간가량 자율운항을 적용합니다 비록 시작은 미약하지만, 지능 항해와 기관 자동화, 사이버 보안 등 핵심 기술 점검을 거쳐 자율운항 시간을 차츰 늘리기로 했습니다 [송명달/해양수산부 차관 : "이번 실증은 자율운항 선박의 상용화를 촉진하는 밑거름이 되어 우리나라 해운과 조선 산업의 경쟁력을 더욱더 강화하게 될 것입니다 "] 오는 2032년 240조 원 규모로 성장하는 자율운항 선박 시장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팬오션 등이 주축이 된 민-관 통합사업단은 이번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자율운항 선박 국제표준(code)을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영상편집:김종수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