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입 밀 대안 '가루쌀' 뜬다…전국 확산해 경작지 5배↑ / SBS 8뉴스
〈앵커〉 국내에서 개발한 가공전용 신품종인 가루쌀이 재배를 시작한 지 4년 만에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밀 수입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용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모내기 철이 끝난 지 한 달가량 된 지난달 말, 이앙기가 부지런히 논을 오가며 모를 심습니다 6월 중순에 밀 수확을 한 뒤 밥쌀용이 아닌 가루쌀 모를 심는 겁니다 재배 기간이 짧아 밀과 보리랑 2모작이 가능합니다 경남 의령에서만 올 가루쌀 농사는 96농가 131ha에 이릅니다 [전원길/영농조합법인대표 : 일반벼보다는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수입 부분이 낫기 때문에 하는 겁니다 ] 밀과 2모작 시 직불금이 지난해 보다 ha 당 100만 원 인상됐고, 정부가 전량 수매합니다 일반 쌀보다 농가 소득에 도움이 되자 3년 전 6농가 25ha로 시작한 가루쌀 재배는 지난해 2천ha에 이어 올해는 1만ha로 크게 늘었습니다 올 가루쌀 재배는 이곳 경남을 비롯해 전라, 충청, 경기 지역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산됐습니다 물에 불리지 않고 밀처럼 바로 빻아 가루를 낼 수 있어서 제품개발도 속도를 내 올 연말까지 30개 식품업체에서 면, 빵, 음료 등 111종의 신제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올 가루쌀 예상 생산량은 5만t, 정부는 식품업체에 수입밀과 비슷한 가격으로 가루쌀을 공급해 제품개발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조은지/농식품부 전략작물육성팀 과장 : 밥쌀 소비가 감소하는 만큼 가공용으로 쌀소비를 할 수 있는 그런 산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오는 27년까지 가루쌀 생산 목표는 20만t, 수입밀 10%를 차지할 양인데 쌀 공급 과잉 속에 밥쌀 재배면적을 줄이는 2중 효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화면제공 : 농식품부)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8뉴스 #가루쌀 #가공전용 #신품종 #확산 #밀수입의존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X(구: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