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달 한미연합훈련...北 "전례 없는 강력 대응" / YTN
■ 진행 : 나경철 앵커, 이승휘 앵커 ■ 출연 : 왕선택 한평정책연구소 글로벌센터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북한 문제를 중심으로 이번 주 진행된 한반도 외교안보 뉴스를 정리해 드리는 북한 리포트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평정책연구소 왕선택 글로벌외교센터장과 함께하겠습니다 [왕선택] 안녕하세요 [앵커] 방금 전해 드렸는데요 북한이 어제 외무성 담화를 냈습니다 그런데 한국과 미국이 연합군사훈련을 실행한다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 이렇게 위협을 했거든요 이번 담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왕선택] 이번 담화가 나온 배경을 살펴봐야 되겠는데요 우리 언론에서 본다면 조금 아까 보도해 드린 그 내용, 한미연합훈련이 되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 그 부분에 주목하게 되는데 사실 이 담화는 UN안전보장이사회, UN안보리에서 북핵 관련 회의를 지난 새벽에 했어요 UN안보리에서 북핵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기 때문에 그것을 보고 북한의 입장을 먼저 던진 것이죠 그래서 외무성 담화를 보면 전체 내용 중 50% 이상은 UN안보리가 잘못하고 있다라는 내용으로 일관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한미연합군사훈련도 거론한 것이고, 그런 차원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번에 외무성 담화는 북한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킨다거나 무력시위라든가 도발적 행위, 이런 것들을 예고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렇게 보고요 전체적인 내용은 남한이나 미국 쪽에 가 있다기보다는 UN안보리 회의를 앞두고 중국이나 러시아가 상임이사국이니까 중국이나 러시아가 북한에 대해서 편향적으로 잘못하고 있는 미국을 따라 하는 게 잘못이다 지금 이렇게 설명을 하는데 안보를 불안하게 하는 것은 미국과 한국인데 왜 북한이 제재를 받느냐, 왜 중국과 러시아는 거기에 동조하느냐 이것이 이번 외무성 담화의 주요 내용이고, 어떻게 보면 남한에 대한 경고가 아니고 중국에 대한 경고다, 이렇게도 볼 수 있습니다 [앵커] UN안보리 회의 소집에 반응한 거라고 해석을 해 주셨는데 그동안 잠잠하다가 강경한 태도를 보인 시점이 이것 때문이라는 해석인가요? [왕선택] 그렇죠 UN안보리 회의가 있기 때문에 바로 전날 그걸 앞두고 문건이 나왔는데 단순히 그것만 본 건 아니고 3월에 한미연합군사훈련이 대대적으로 열릴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어요 예고가 되어 있죠 그다음에 2월 22일날, 이번 달 22일, 며칠 뒤에는 워싱턴에서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이라고 하는 한국과 미국 국방부 고위 간부들의 또 연습이 진행됩니다 협의가 진행이 됩니다 이런 것들을 보고 북한이 활용하는 것이죠 북한은 조금 아까 외무성 담화를 거론하면서 말씀드렸지만 외무성 담화의 말 중에 이런 대목이 있어요 북한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자제했는데 미국과 한국이 자극을 하고 있다, 이런 내용이 계속 들어 있어요 북한이 자제했다는 표현을 썼습니다 자제했다 좀 우리 입장에서 보면 말이 안 되죠 그러나 북한은 자기 입장을 얘기하는 거니까 그래서 북한은 자제했는데 미국과 한국이 긴장을 조성하고 있는데 그게 바로 2월과 3월에 진행될 거라고 예고한 것이죠 그러니까 내 말이 맞다라고 북한은 주장을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것은 무력시위를 예고하는 신호탄이라기보다는 UN안보리의 북한 관련 회의를 두고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기 위한 어떻게 보면 심리전이고 중국에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