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명 다녀간 CES, 성황리 폐막...혁신상 휩쓴 한국 / YTN

10만 명 다녀간 CES, 성황리 폐막...혁신상 휩쓴 한국 / YTN

[앵커] 매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제품 박람회 CES가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을 모은 채 성황리에 폐막했습니다 최신 기술과 가전제품 동향은 물론 기술 발전이 가져올 우리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현장에 다녀온 경제부 윤해리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윤해리 기자 어제저녁 한국 도착했다고 들었는데, 시차 적응은 다 된 건가요? [기자] 미국 현지 시각으로는 10일 오전에 출발해서 장장 16시간 비행기를 타고 왔는데요 거의 10시간 이상을 비행기에서 내리 잤더니 시차 적응은 벌써 다 된 것 같습니다 [앵커] 주요 키워드를 미리 뽑아보았는데, 올해 CES에서는 웹 3 0 기술과 메타버스가 새로운 화두였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웹 3 0 기술이란 기존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거대한 IT 기업들 중심으로 중앙집중화된 인터넷의 대안으로 꼽히는 기술을 일컫는 말인데요 예를 들면 블록체인과 이를 기반으로 한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올해 CES에서는 가상현실과 메타버스를 접목한 다양한 기술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제가 가상현실(VR) 고글과 센서가 탑재된 장갑과 조끼를 착용하고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게임을 체험해봤는데요 게임 속 캐릭터들과 하이파이브를 하면 장갑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실제로 박수를 치는 것처럼 진동이 느껴졌고요 총싸움 게임을 하다가 총알을 맞으면 해당 부위에 진동이 오는 등 굉장히 실감 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또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10분 만에 저와 똑같은 가상인간을 생성하는 기술도 체험해봤습니다 10초 정도 사람을 촬영해서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면 사람과 똑같이 생긴 가상 인간이 생성되고요 여기에 30분 분량의 음성 데이터만 있으면 실제로 자기 목소리까지 입힐 수 있다고 합니다 저와 똑같은 가상인간을 마주하니까 어딘가 모르게 소름이 돋기도 하더라고요 [앵커] 코로나 엔데믹을 맞아 3년 만에 정상 개최된 건데, 지난해와 비교해서 달라진 점이 뭐였나요? [기자] 지난해도 대면으로 행사가 열렸지만, 코로나로 인해 글로벌 IT 기업들이 대거 불참한 '반쪽짜리 행사'나 다름없었습니다 올해는 구글이나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돌아왔습니다 3천 개가 넘는 기업이 참여했는데, 이 가운데 한국 기업이 500여 개로 미국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관람객 수도 지난해 두 배 수준인 10만 명을 넘어, 코로나 이전 수준을 어느 정도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다만, 달라진 게 있다면 중국 기업의 참여가 눈에 띄게 줄었는데요 중국의 코로나 확산 상황과 미·중 갈등 여파까지 더해지면서 샤오미나 화웨이 같은 중국 기업들의 참여가 저조했습니다 보통 중국 기업들이 삼성이나 LG 부스 바로 옆에 자리를 잡고 신기한 제품들을 많이 선보였다고 하는데, 이번에는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앵커] 대신 한국 기업들의 활약에 눈에 띄었죠? CES 혁신상도 휩쓸었다고 하던데요 [기자] 네, 삼성과 LG는 관람객들의 눈에 잘 띄는 곳에 대형 부스를 마련했는데요 실제로 입장 대기 줄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질 정도로 인기가 대단했습니다 특히 LG 부스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올레드 지평선'이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지금 보이는 건 하나의 전광판처럼 보이지만, 260개의 올레드 패널을 이어붙인 거대한 디스플레이인데요 곡선으로 휘어져 있는 모습과 선명한 (중략) YTN 윤해리 (yunhr0925@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