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소득 분배 개선…저소득층 근로 소득은 최대 감소 / KBS뉴스(News)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 격차가 1년 전보다 소폭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계층의 소득이 모두 줄어든 결과입니다 특히 저소득층은 정부 지원으로 버티는 모양새입니다 김수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 6천 원으로 1년 전보다 1 3%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 폭이 줄었는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이 모두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125만 4천 원으로 1년 전보다 2 5% 줄었습니다 특히, 근로 소득이 1분기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인 14 5% 줄어, 40만 4천 원에 그쳤습니다 여전히 취업자가 가구당 1명이 안 되는 0 65명으로 일자리 사정이 나쁘고, 가구주 평균 나이가 63 3세로 고령 가구가 많은 것도 소득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대신, 정부 지원 등을 뜻하는 이전 소득이 늘어 처음으로 전체 소득의 절반을 넘어서면서 소득이 더 많이 줄어드는 것을 막았습니다 소득 상위 20% 가계가 번 돈도 992만 5천 원으로 2 2% 줄었습니다 상여금이 줄어 근로소득이 줄었고, 사업 소득도 감소하는 등 경기 부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가구 구성원 수를 고려해 처분 가능한 소득을 따져보면, 상위 20%의 소득은 하위 20%의 5 8배로 집계돼 1년 전보다는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나머지 중간 계층의 소득은 모두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은 "소득 분배가 급격히 악화하는 건 멈춰 서는 것으로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소득 상황이 녹록지 않아 나아질 기미는 더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