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바꿔놓은 과학 패러다임...연구 현장 가보니 / YTN 사이언스](https://poortechguy.com/image/BGn8hxKF1XA.webp)
AI가 바꿔놓은 과학 패러다임...연구 현장 가보니 / YTN 사이언스
[앵커] 올해 노벨상은 그야말로 인공지능, AI 잔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노벨화학상을 받은 단백질 구조 예측 AI는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꿨다는 평가를 받았는데요 실제 연구 현장에서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요? 박나연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기자] 아미노산 서열을 화면에 입력했더니, 인공지능이 단백질 구조를 뚝딱 만들어냅니다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알파폴드2로, 이미 확인된 수십만 개의 단백질 구조를 학습해 새로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 모델입니다 기존에는 X선이나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단백질 구조를 알아냈는데, 계산이 복잡해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이 걸렸습니다 알파폴드를 이용하면 PC 성능에 따라 빠르면 몇 분, 늦어도 몇 시간 안에 구조를 찾을 수 있고 정확도도 90%에 달합니다 [임동준 / 고려대학교 화학과 박사후연구원 : 알파폴드가 굉장히 빠르게 구조를 예측해줄 수 있기 때문에 저희는 더 많은 후보체를 찾거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단백질은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핵심 분자로, 그 구조를 알아야 단백질 기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YTN 박나연 (pny@ytn co 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