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외벽 붕괴 6명 실종...구조 지연에 가족 '발동동' / YTN

아파트 외벽 붕괴 6명 실종...구조 지연에 가족 '발동동' / YTN

[앵커] 어제 광주에 있는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에서 건물 외벽이 무너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사고 당시 현장 작업자 가운데 현재까지 6명이 연락이 끊긴 상태인데요 추가 붕괴 우려로 우선 드론과 구조견이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민성 기자! [기자] 광주 아파트 외벽 붕괴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붕괴 사고 이튿날인데요 현장 상황 어떤지 전해주시죠 [기자] 이 현장에서 일했던 작업자 가운데 6명이 여전히 연락 두절 상태입니다 여기서 수십 미터 떨어진 곳이 사고 현장인데요 현장을 눈앞에 두고도 제대로 된 수색 작업을 벌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바로 추가 피해 우려 때문인데요 당국은 구조가 가능한지 따져보기 위해 오늘 오전 안전점검을 벌였습니다 그 결과 실내는 지하층부터 꼭대기까지 들어가는 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만 실외는 지금도 일부 붕괴 가능성이 있어 구조팀을 투입하는 건 위험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신 구조견 6마리와 구조견을 다루는 이른바 '핸들러'들을 현장에 투입해 우선 수색 작업에 나섰습니다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실외는 드론에 달린 열화상 카메라로 수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구조 작업이 부득이 지연되면서 현장에 있는 실종자 가족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안타깝게도 실종자들의 소재가 파악됐다는 소식은 아직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 주변에서 휴대전화 위치가 잡혔지만,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들은 외벽 등이 무너진 건물 28층에서 31층 사이에서 창호 공사를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앵커] 아직 확인된 건 아니지만, 사고 원인으로 여러 가지 가능성에 제기되고 있죠? [기자] 어제 사고가 난 건 오후 3시 45분쯤인데요 당시 39층에서 콘크리트 타설 공사가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작업 도중 거푸집이 터지면서 건물 외벽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당시 작업 높이가 39층이라 바람이 강하게 불었을 수 있고, 거푸집이 그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추정입니다 또,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무리한 공사 진행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추운 날에는 콘크리트가 잘 마르지 않아서 보통 작업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요 작업하더라도 콘크리트 강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리기 위해 온도를 높게 유지해야 합니다 일각에서는 이런 과정에 제대로 되지 않아 콘크리트 양생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거로도 추정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붕괴 사고 원인을 밝힐 조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이번 붕괴 사고에 대해 수사기관도 곧바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광주경찰청은 경무관인 수사부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수사본부를 꾸렸습니다 붕괴 원인과 함께 공사 현장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수사에 나섰습니다 안전 진단이 마무리되는 대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과 합동으로 현장 감식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또 공사 관계자와 목격자, CCTV를 확인해 사건 발생 경위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대검찰청은 광주지검과 경찰,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을 중심으로 합동수사본부를 구성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앵커] 이번에 사고가 난 아파트 신축 공사 시공사가 7개월 전 광주에서 발생한 철거 건물 붕괴 참사 당시 시공사와 같다고요? [기자] 이번에 사고가 난 아파트 신축 공사 시공사는 HDC 현대산업개발입니다 지난해 6월 광주 학동에서 17명의 사상자를 낸 철거 공사를 추진했던 업 (중략) YTN 김민성 (kimms0708@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