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내집 마련에 14년…집값 하락에 변화 조짐도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서울 내집 마련에 14년…집값 하락에 변화 조짐도 [뉴스리뷰] [앵커] 집값이 본격적으로 떨어지기 직전인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14년 치 벌이를 다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올해는 분위기가 좀 바뀌었는데요 너무 오른 집값이 제 수준을 찾아가는 중이란 해석도 있습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영끌' 열풍이 절정을 보였던 지난해 수도권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 PIR은 10배를 넘었습니다 수도권에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10년 치를 꼬박 모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서울은 이 비율이 2020년 12 5배에서 지난해 14 1배까지 뛰었습니다 다만, 이런 흐름은 올해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맞물리면서 180도 바뀌었습니다 2020년부터 작년까지 14% 넘게 폭등했던 집값이 올해 들어 20% 넘게 급락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중개인] "9억 이렇게 나왔었는데 7억 5천 원까지 내려서 나온 게 (하나) 있고…많지는 않습니다 앞으로 저희도 어떻게 될지는…" 무주택자 입장에선 빠르게 오른 집값이 정상 범위로 돌아오고 있다며 반기는 분위기지만, 경계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은형 연구위원 / 건설정책연구원] "소주 값은 막 올라가는 반면에 집만 반 토막 난다 이렇게 되기는 쉽지 않아요 상황이 개선되면 당연히 수요가 있을 만한 데 지을 거 아니에요? 집을 짓고 할 만한 동네는 브이자형 반등이 되는 거고 좀 힘들지 이런 지역은 일자로 가는 거예요 " 너무 급격한 집값 하락이 훗날 집값 상승기에 급격한 반등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 co kr) #집값폭락 #부동산한파 #거래절벽 #내집마련 #10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