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15장 11~32절)돌아온  탕자보다 집안의 탕자가 더 큰 문제   #생명의삶 성장큐티

(눅15장 11~32절)돌아온 탕자보다 집안의 탕자가 더 큰 문제 #생명의삶 성장큐티

#눅15장 강해, #daily word, #눅15장, #생명의삶, #새벽예배, #매일성경, #새벽말씀,, #누가복음해석, #새벽기도, #아침묵상, #죄용서, #돌아온탕자, #돌탕집탕, #송정수목사 (백석대신학대학원, 연세대연합신학대학원, 행복한제자교회 담임목사) -------------------------------------------- (눅 15장 11~32절) 돌아온 탕자보다 집 안의 탕자가 더 큰 문제 탕자의 이야기는 잃어버린 한 마리 양과, 잃어버린 드라크마 비유로 시작하신 예수님의 잔치초청 이야기의 결론입니다. 주님은 앞의 두 비유를 통해 세리와 죄인들도 하나님께는 매우 중요한 존재임을 가르쳤어요. 그리고 탕자의 비유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시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집나간 탕자보다 집안의 탕자가 더 걱정해야 할 탕자임을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두 아들 이야기를 시작하시면서, 둘째 아들에 해당되는 세리와 죄인들이 유대인들이 무시해도 좋을 사람들이 아님을 밝히십니다. 유대인들이 볼 때는 둘째 아들은 불효막급한 못된 자식이죠.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도 유산을 미리 달라고 한 것은 아버지가 빨리 죽기를 바랬다는 것이고, 먼 나라로 갔다는 것은 더 이상 율법의 조항대로 살지 않겠다는 것을 뜻합니다. 게다가 둘째 아들은 돼지 치는 일을 했고, 돼지 먹이를 같이 먹은 것은 유대인들로서는 구역질 날 일입니다. 돼지는 유대인들이 먹지도 않고 키우지도 않는 부정한 짐승이기 때문이죠. 둘째 아들이 아버지께 돌아가기로 결정한 것은 자신의 잘못된 삶을 반성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돌아가서는 아들이 아닌 ‘품꾼의 하나’로 살겠다는 것은 자신의 죗값을 달게 받겠다는 뜻입니다. 이 둘째 아들의 모습은 하나님 앞에 죄인임을 깨닫고 돌아온 세리와 죄인들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자녀라고는 못하겠고, 주변인으로라도 살기 원하는 것은 그만큼 자격이 없는 자인 것을 자각하고 있었다는 뜻이죠. 그런데 아버지의 입장은 다릅니다. 둘째 아들을 여전히 아들로 인정합니다. 둘째를 혐오하거나, 불효 막급한 놈이라고 비난하지 않고, 아버지는 따뜻하게 안아주고 품어줍니다. 경건한 유대인의 입장에서 보면 돼지를 치고, 돼지 먹이를 먹었던 자의 목을 안고 입을 맞추었다는 것은 상상조차 못할 불경한 일이죠. 그런데 아버지는 남들의 시선쯤은 전혀 개의치 않습니다. 돌아온 둘째는 자신은 아들로서 자격이 전혀 없다고 고백하지만, 아버지는 그의 지위를 회복시키고, 돌아온 것을 알려 잔치를 벌이고자 합니다. 예수님이 둘째 아들을 통해 가르치시는 뜻은 무엇일까요? 이 이야기를 통해 세리와 죄인들 역시 하나님의 백성들이요, 하나님은 그들을 전혀 혐오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긍휼을 베푸신다고 말씀하시는 겁니다. 그걸 보여줌으로써 돌아온 탕자를 못된 놈이라고 비난만 하고 있는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를 알려주시려는 의도입니다. 사실 탕자 이야기는 부모의 마음을 조금만 이해한다면 다 이해됩니다.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잃었다가 얻은 이 아들’이 얼마나 귀한지 깨닫게 해 줍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예수님은 이방인이라면 끔찍이 싫어하고, 무관심하는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에게 ‘태도를 바꾸라’고 가르치고자, 하신 것이죠. 자 보세요. 집안에서 탕자가 돌아오는 것을 시기하고 혐오하는 사람은 누구죠? 첫째 아들입니다.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그 첫째 아들은 누구를 가르치고 있을까요? 당시 바리새인과 사마리아인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그들은 예언대로 오신 구세주 예수님에게는 관심도 없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고, 인기와 명예를 이용하여 자신의 이득과 이윤만을 계산하는 자들이죠. 즉 교회 안의 탕자입니다. 그들은 누구보다 아버지를 잘 알아요. 가까이했구요. 근데 몰라요. 실제로는.... 실제 걱정되는 탕자는 누구입니까? 집 밖에서 방탕하다 돌아온 둘째 아들보다, 집안에 있으면서도 아버지의 뜻이 무엇인지 모르고, 아버지가 주시는 은덕과 은총을 한번 누리지도 못한 채 종처럼 살았던 첫째 아들입니다. 즉 집안의 탕자가 더 골칫거리입니다. 집안의 탕자들은 자신들이 타락한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거룩한 생활을 했다고 해서, 스스로를 의인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겁니다. 똥뭍은 개가 겨뭍은 개를 나무라듯이, 자신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허물을 지적하는 것처럼 말이죠. 정리하면, 첫째 아들은 아버지 집에서 종처럼 산 겁니다. 또 첫째 아들은 시기와 질투심은 불같이 타올랐지만, 사랑과 긍휼의 마음은 없었어요. 비록 허랑방탕했지만 뉘우치고 돌아온 동생을 사랑보다는 비판의 눈길로 지켜보았습니다. 아버지의 사랑이 동생을 향하는 것을 보고 화를 내고 잔치에 참여하지도 않지요.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생명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아픔에도 공감하고 기도하며 섬길 줄 압니다.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남이 잘 되거나, 형통하는 것을 봐도 내 일처럼 기빠하고 축복해 줍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사람을 볼 때도 물질로 판단하거나 외모로 판단하지 않고, 생명의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한 생명을 불쌍히 여기고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은, 성령님이 주시는 마음이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마음입니다.그런데 사랑이 없으면 외식주의 형식주의가 돼 버려요. 사랑이 없으면 맛을 잃어버린 소금과 같아요. 밖으로 던져버려 사람들에게 밟힐 뿐입니다. 오늘 한국교회의 문제는 우리의 문제요, 내 문제는 곧 교회의 문제요, 기독교의 문제입니다. 하나님의 집안에 있으면서도 집안의 탕자가 되어버린 첫째 아들이 바로 우리 자신이 아닌지 점검하고 돌아봅시다. 누구나 다 첫째 아들의 고집과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게 죄인된 사람의 본능이니까요. 그런데 성령님으로 충만하여 주님과 자꾸 동행하며 살면 소금의 맛을 내서 주변을 부패하지 못하게 막구요, 성령님으로 충만하면 자신이 속한 곳에서 화평하게 하고, 사랑하게 하고, 용서하게 하고, 사람을 세워줍니다. 성령의 열매를 자꾸자꾸 맺는 거죠. 이게 바로 우리가 살아가야 할 집안의 거듭난 성도의 모습입니다. 오늘도 내가 만나는 사람 중에, 하나님께서 잃어버린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며 주님께 돌아오게 기도하며 사랑을 실천합시다. 성령으로 충만해서 아버지의 마음을 잘 알고, 아버지의 뜻을 행하면서,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기쁨에 참여하는 자가 되라는 말씀처럼, 아버지 하나님으로 즐거워 하고, 기뻐하는 은혜가 충만한 성도로 사시길 축원합니다. 기도드립니다. 주님, 오늘 말씀을 듣고, 자신이 집나간 탕자임을 알았다면 깨우치고 어서 돌아와, 아버지께 안기게 하소서. 이미 돌아온 사람이라면 자신이 첫째 아들과 같은 아버지를 안다고 하지만 모르는 사람으로 살았다면, 이제라도 회개하고 종이 아니라 자녀로 살아가는 은총을 주옵소서. 우리 모두 하나님 안에서 살되, 먼저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하시고, 나를 통해 너무나도 귀한 일, 영혼을 살리는 일을 하기 원하시는 주님의 뜻에 적극 협력하게 하소서. 이 모든 아름답고 황홀한 삶을 위해 성령의 충만함을 주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