麥(보리 맥)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0개

麥(보리 맥)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0개

麥(보리 맥: 보리, 묻다, 작다, 맥류(麥類)의 총칭, 매장함)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麥(보리 맥)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0개] 1) 麥秀之歎(맥수지탄):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만 무성(茂盛)하게 자란 것을 탄식(歎息)함이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2)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3) 種麥得麥(종맥득맥):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으로, 인과(因果) 응보(應報)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4) 麥穗(맥수): 보리의 이삭 5) 麥秀之嘆(맥수지탄):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6) 麥曲之英(맥곡지영): ‘술’을 달리 이르는 말 맥곡(麥曲)은 누룩을 이른다 7) 麥秀黍油(맥수서유): 보리의 이삭과 기장의 윤기라는 뜻으로, 고국의 멸망(滅亡)을 탄식(歎息)함 8) 菽麥不辨(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9) 不辨菽麥(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菽麥 10) 破麥剖梨(파맥부리):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