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주름=목디스크|견갑골(날개뼈) 통증 | 손저림](https://poortechguy.com/image/DLmRNOMaPRA.webp)
목 주름=목디스크|견갑골(날개뼈) 통증 | 손저림
안녕하세요 페인 여러분 PAIN LAB 입니다 :) 이전에 많은 관심을 받은 거북목 교정 영상이 있습니다. 안보신 분들은 한번 보고 오세요. 거북목인 분들의 경우나 목쪽이 좋지 못한 분들의 경우 뒷목이나 옆목쪽에 주름이 많이 잡힙니다. 이 거북목 교정 영상의 원리 역시 옆목/뒷목의 주름이 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거죠. 이걸 인식하고 해보시면 더 잘하실수 있습니다. 여러분들 목 앞에 주름들은 노화로 인해서 탄력성이 쳐지면서 나온다고 하죠. 반면에 목 뒤쪽에 주름은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목은 지방층이 얇고 피지선이 적어서 건조하기 쉽고 움직임이 많다보니 주름이 생기기 쉽습니다. 움직일 때 잠깐 나오는 주름말구요. 쉬고있는 자세에서도 잡혀있는 주름을 말하는거죠. 이렇게 초반에 희미하게 보이는 듯 하다가 계속 자세가 안좋으면 이렇게 진하게 잡힙니다. 목뒤나 옆 쪽에 주름이 잡히는 경우는 어떤게 있을까요? 피부질환의 경우는 제외 살이 찌면서 접히는 경우도 있고 척추분절의 과운동성 때문에 생기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일반적으로 생기는 목주름인 가로형태의 주름은 근육운동방향에 따라 생기는 것으로 잘못된 생활습관이 원인입니다. 1. 베개가 너무 높거나 혹은 낫거나 하면 자는 동안에도 목주름이 잡힐수 있죠. 혹은 옆으로 자거나.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주무시는 분들도. 그리고 엎드린 상태에서 돌리고 주무시는 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2. 듀얼 모니터나 여러대를 두고 쓰다보면 고개를 항상 돌리고 있을 수 있습니다. 3. 거북목인 분들이 전체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턱을 과도하게 집어넣으려고 하는 경우 혹은 고개가 나오니 뒤로 젖히기만 할 때 생깁니다. 이런 분들은 최악의 목 스트레칭 편을 참고해주세요. 최악의 스트레칭이 뒤로 젖힌후로 압박을 주는 방식이었죠. 이런 동작들은 경추에 심한 물리적 스트레스를 주는 행위입니다. 물론 당장 힘들 때 하면 시원하다고 그 당시는 생각합니다. 왜 말씀드리냐면, 흔히 mri를 찍어도 정상으로 나오는데 목디스크와 비슷한 목통증, 견갑골 내측 통증, 손 저림이 있는 분들이 있죠. 이런 증상이 있는 분들중에 꽤 높은 비율이 목주름이 명확하게 있습니다. 목주름이 잡히는 경추 신경 레벨에서 팔과 등로 내려가는 신경이 많이 분포하거든요. 그냥 흥미끌려고 말씀드리는게 아닙니다. 실제로 목에 지방층이 많거나 압진을 통해 신경이 잘 안찾아 지는 경우,이 주름을 지표로 찾아서 경추 신경쪽을 찾아서 시술하기도합니다. 쉽게 생각해봐도 주름이 있다는건 가까운 경추분절이 과신전되어서 압박을 받는다고 생각할수 있죠. 관절을 많이 쓰다보면 마찰이 생기고 염증이 발생합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경추도 뼈와 뼈로 형성되어 있고 관절이 있습니다. 무릎이나 팔꿈치 많이 쓰면 관절염 오는 것처럼 경추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관절과 차이점이라면 경추주변엔 신경근들이 많이 분포하고 경추주변 신경을 염증들이 흥분 및 전도 시킬 수 있는 거죠. 혹시 내 목의 옆이나 뒤에 주름이 있는 분들은 지금부터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이 영상을 보시고 거북목 교정하시는 분들은 뒷목 옆목 주름이 펴진다고 느끼며 운동해보세요. 이걸 인식하고 하시면 더 잘하실 수 있습니다. 늦지않았습니다. 지금부터 자세에 신경쓰면 됩니다. 지금까지 PAIN LAB 이었습니다 :) 00:00 인트로 00:23 목 주름은 왜 생길까? 01:28 목 주름의 원인 : 잘못된 생활습관 01:56 베개의 높낮이 문제 02:14 여러 모니터 사용 & 잘못된 스트레칭 02:39 최악의 목 스트레칭 03:11 목 주름과 목 디스크의 관계 04:22 마무리 #목주름 #목디스크 #거북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