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왕운기의 산실 천은사 #원더풀삼척
삼척시 두타산 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758년(경덕왕 17)에 두타삼선(頭陀三仙)이 백련(白蓮)을 가지고 이곳으로 와서 절을 창건한 뒤 백련대(白蓮臺)라고 하였다 839년(문성왕 1)범일국사(梵日國師)가 극락보전(極樂寶殿) 등을 건립하고 규모 있는 사찰로 만들었으며,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李承休)가 중수하고 이곳에서 대장경을 열람한 뒤 간장암(看藏庵)이라고 하였다 이승휴는 또 이 절이 있는 용계(龍溪)에서 『제왕운기(帝王韻紀)』를 저술하였고, 71세 되던 해에는 그가 머물렀던 용안당(容安堂)의 현판을 내리고 간장사로 바꾼 뒤, 이 절에 전답 등을 시주했다고 한다 조선 선조 때는 서산대사(西山大師)가 이곳에 와서 절을 중건하고, 절의 서남쪽에 있는 봉우리가 검푸른 것을 보고 흑악사(黑岳寺)라고 하였다 1899년에는 이성계(李成桂)의 4대조인 목조(穆祖)의 능(陵)을 수축하고 이 절을 목조의 원당으로 삼았는데, 이때부터 천은사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6·25전쟁 때 불탄 뒤 명맥만 유지해 오다가 주지 문일봉(文一峰)이 부임하여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약사전·육화료(六和寮)·영월루(映月樓)·삼성각(三聖閣) 등을 신축하였고, 요사채를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화재로는 강원 시도유형문화재 제147호 아미타삼존불좌상과 강원 시도유형문화재 제148호 금동약사여래입상이 있다 아미타불상을 개금(改金)할 때 복장(腹藏)에서 나온 『법화경』에 ‘嘉慶三年戊午四月十六日改金(가경3년무오4월16일개금)’이라고 쓴 글이 나와서 이 불상이 1779년(정조 3)에 개금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경내는 사적 제421호 이승휴유적(李承休遺蹟)으로 지정되었고 이승휴를 기리는 사당인 동안사(動安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