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브리핑] '최강 변이' XBB.1.5, 전 세계 대유행 우려 / YTN

[굿모닝브리핑] '최강 변이' XBB.1.5, 전 세계 대유행 우려 / YTN

[앵커] 1월 6일 금요일입니다 오늘 아침 신문은 어떤 소식을 다뤘는지 짚어보겠습니다 이현웅 아나운서가 주요 내용 정리해왔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이현웅] 안녕하십니까? [앵커] 첫 번째 기사부터 보겠습니다 코로나 관련 소식입니다 국내 코로나 상황을 보자면 두 가지 변수가 있을 것 같은데 중국발 코로나 그리고 또 다른 변이가 확산할 문제, 이 두 가지인 것 같은데 변이 같은 경우는 저희가 보도를 통해 전해 드린 대로 XBB 1 5 변이가 지금 우려가 되는 상황이죠? [이현웅] 맞습니다 XBB 1 5는 오미크론 하위 변인인데요 세계보건기구, WHO는 '가장 전염성이 높은 변종'이라며경고하기도 했습니다 XBB 1 5는 작년 10월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뒤 현재 전 세계 29개국에서 확인됐고요 여기에는 우리나라도 포함돼 있습니다 작년 11월만 하더라도 미국 내 감염 비율이 0 1%에 불과했는데, 12월 말 40 5%까지 치솟았고 일부 지역은 75%를 넘어설 정도로 이례적인 빠른 전파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조만간 WHO에서 이 변이의 위험성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일각에서는 전 세계에 다시 한 번 대유행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앵커] 중국발 입국자 관리에 대한 부분도 보겠습니다 저희가 방역에 구멍이 있었다라는 소식, 얼마 전에 전해 드렸는데 지금 계속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고 있나 보네요? [이현웅] 그렇습니다 한겨레 신문에 따르면, 현재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에서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비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고 합니다 때문에 보건소에서 일일이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어서 비자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는데요 비자 정보를 관리하는 법무부와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이 연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단기, 장기 체류자에 따라 입국 후 검사 규정이 다른데 시스템에서는 이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보건소에서 매일 모든 미검사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확인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건소 인력 상황을 고려한다면 기존 업무를 포함해 방역에도 차질이 불가피해보이는 상황입니다 또 입국자들이 입력한 전화번호가 잘못돼 연락이 안 되는 사례도 꽤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 중국발 입국자가 더 늘 것으로 보여 현장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그나마 이제는 입국 전 검사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검사 관련 혼란은 줄어들 거라고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앵커] 보건소 업무 과중을 좀 덜면서 시스템의 구멍을 채울 수 있는 그런 묘안이 나와야겠습니다 다음 기사 보겠습니다 다음은 스쿨존 관련 기사인데요 저희가 스쿨존 사고 관련 보도 계속해서 전해 드리고 있는데 지금 실형이 단 1건이라는 게 정말인가요? [이현웅] 그렇습니다 작년에 어린이 교통사고가 56건이라고 하는데 분석했더니, 실형이 1건에 그쳤다고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드리겠습니다 세 차례 음주운전 전과가 있는 화물차 운전자가, 만취한 상태에서 6살 아이를 들이받은 경우, 또 9살 아이를 들이받고 현장에서 아무런 구호 조치 없이 도주한 마을버스 기사의 경우 모두 판결은 어떻게 나왔을까요? [앵커] 당연히 처벌을 받아야 할 것 같은데 [이현웅]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고 합니다 음주 전과가 10년 이상 지난 일이고, 피해자 측과 합의했다는 점 등이 참작됐다고 합니다 기사에는 이렇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알 수 있는 대표적 사례들이 실려 있었습니다 한편, 스쿨존 사고의 96%가 운전업 종 (중략) YTN 이현웅 (leehw1118@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