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압박 카드로 '여행제한 확대' 거론…여파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日 압박 카드로 '여행제한 확대' 거론…여파는? [앵커] 일본의 경제보복 뒤 일본행 관광객 수가 뚝 떨어졌죠 정부는 대응책으로 관광분야 안전조치 강화 가능성을 내비쳤고 정치권에서도 여행제한론이 나오는데요 특히, 방사능 위험성이 거론될 경우 올림픽을 앞둔 일본에 영향이 상당할 전망입니다 이진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일본의 2차 경제보복 뒤 정부가 검토에 나선 대응 조치 가운데 관광은 일본을 상당히 압박할 수 있는 카드로 꼽힙니다 [홍남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관광, 식품, 폐기물 등의 분야부터 안전조치를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 " 거론되는 관광 압박카드는 여행제한 지역인 '철수 권고' 범위를 확대하는 겁니다 이미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원전 반경 30km 이내는 '철수 권고' 상태인데, 이 후쿠시마와 도쿄간 거리는 200km에 불과합니다 철수권고 범위가 확대되면, 도쿄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내년 도쿄 올림픽을 앞둔 일본으로서는 관광객 감소 말고도 원전 사고 이후 총력을 기울여 구축해온 '안전한 일본'이란 이미지까지 손상될 수 있습니다 [김남조 /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방사능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면, 분명히 일본은 충격이 있어요 올림픽에 대한 충격이 있죠 " 일본 관광이 급감할 경우, 한국인 관광객에 의존도가 큰 일본의 몇몇 지역경제에 충격이 예상됩니다 아베 총리 지역구 시모노세키는 물론 오이타, 기타큐슈 등은 방문 외국인 80~90%가 한국인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민간교류인 관광을 강제 제한할 경우 부작용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 당국은 여행제한의 구체적 계획은 아직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 (jinu@yna co 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