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서 킬러문항 뺀다…변별력 확보·난이도 조절 관건 #Shorts

수능서 킬러문항 뺀다…변별력 확보·난이도 조절 관건 #Shorts

윤석열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에서 최상위권 #수험생 에 대한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출제됐던 ' #킬러 #문항 ' #출제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 #공교육 을 정상화하고 #사교육 에 몰린 부담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다만 수능을 불과 5개월 앞두고 시험 난이도와 출제 방향에 대해 혼란이 생기면서 9월 치러질 모의평가에 교육계 시선이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19일 국회에서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 협의회'를 열고 수능에서 킬러 문항 출제 배제와 적정 난이도 확보를 위한 출제 기법 등 전반적인 시스템을 점검하기로 했다 당정은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출제되는 킬러 문항이 사교육을 조장하는 근본 원인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공정 수능'을 위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킬러 문항 출제를 배제키로 했다 변별력 유지를 위해 수능의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출제 기법을 고도화,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지난 정부에서 폐지하기로 했던 자사고, 외국어고, 국제고는 존치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오는 21일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 27일 사교육 경감 대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문제를 출제한다는 것은 학생, 학부모, 교사를 사교육으로 내모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오래 있었음에도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해 방치한 점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의 출발점이자, 중요한 원칙은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하시는 공정한 수능 평가"고 밝혔다 이어 "일각에서 '물수능' 이슈라고 하지만 공정한 수능은 결코 물수능이 아니다"라며 "우리 아이들이 학원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공정한 수능이 돼야 한다는 것이고, 이런 수능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정이 이 같은 방침을 세우면서 올해 11월 16일 예정된 2024학년도 수능에 '킬러 문항' 출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수능을 불과 5개월 여 앞둔 상황에서 현장 혼선이 더 커졌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가운데 '물수능 논란'을 피하고 변별력 있는 수능이 될 수 있을지가 가장 큰 관건이다 교육부가 킬러 문항 배제를 공언했지만 '출제기법을 고도화하겠다'는 추상적인 답변 외에는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9월 예정된 모의평가가 올해 출제 경향과 난이도를 예측할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6·9월 모의평가를 통해 수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