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6일 만에 공개된 ‘그 날 그 곳’…참사의 재구성 / KBS 2023.01.13.
159명이 희생된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을 밝히기 위한 경찰 특별수사본부의 수사가 오늘로 마무리됐습니다 76일 전 그날 밤 왜 그렇게 많은 사람이 희생됐는지, 특수본은 '의문'에 답을 제대로 내놨을까요? 먼저, 참사 원인과 경위에 대한 발표 내용부터 알아봅니다 특수본은 너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몰렸던 문제를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이태원 그 골목의 영상을 일부 공개했습니다 KBS는 그동안 현장취재 영상의 사용을 극도로 자제해 왔지만, 경찰이 제공한 이 영상만큼은 사고경위 설명을 위해, 짧게나마 공개하는 점, 미리 설명드립니다 황현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그 날, 이태원은 초저녁부터 북새통이었습니다 인파는 여러 CCTV에 찍혔고, 특수본은 그 중 석 대의 영상 일부를 공개했습니다 세계음식문화거리에 설치된 2대, 참사가 난 그 골목길에 있던 1대입니다 저녁 8시 반, 이미 옆 사람과 부딪히지 않고선 걸을 수 없었습니다 밤 9시, 인파가 더 늘더니, 일부는 차도까지 밀려납니다 112, 119에 신고가 빗발치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밤 10시 10분 세계음식문화거리, 양방향 인파가 교차하며 뒤엉키는 모습이 선명합니다 결국, 사람들이 한 무더기처럼 떠밀리는 현상이 본격화됩니다 [최영규/'이태원 참사' 생존자 : "제가 움직이고 싶은 대로 움직일 수가 없었어요 여기서 밀고 오면 이리로 밀렸고… "] 이 많은 인원은 밤 10시 13분, 좁은 '사고 골목'에 쏠렸습니다 2분 뒤 누군가 넘어집니다 그 원인까진 알아내지 못했지만, 가파른 골목 구조가 영향을 줬다고 특수본은 추정했습니다 넘어진 사람 위로 또 넘어지고, 또 넘어지면서 발생한 '군중 압력', 대규모 '질식' 사태로 이어지고 말았습니다 [박민영/금오공과대학 기계설계공학과 교수 : "그냥 넘어지고 끝나는 게 아니라 그 위에 엎어지면서 (사고) 발생을 하게 되고, 사람들이 '우' 하고 한꺼번에 넘어지는 것으로 확인하실 수가 있는데요 "] 분석 결과, 인파 밀집도는 불과 10여 분만에 최대 3배 가까이 치솟았습니다 A4용지 20장 위에 8명이 올라선 정도의 밀집도 제일 밑에 깔린 사람이 받았을 무게는 500킬로그램 이상이었습니다 [황민구/법영상분석연구소장 : "(실험했을 때) 사람들이 아파하고 비명 지르고, (사람을 안에 채운) 박스 세트가 무너질 정도의 밀집도라는 것이 "] 이런 초밀집 상황에서 일방통행이나 우회 조치가 전무했던 관계 기관들의 무책임이 더해지면서 돌이킬 수 없는 참사로 이어졌단 게 특수본의 결론입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서수민 김지혜/화면제공:경찰청 특별수사본부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이태원참사 #특수본 #윗선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