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ARF '대북제재 신경전' 예상 / YTN
[앵커] 북한이 우리가 제안한 남북 외교장관 회담을 거절했습니다 오늘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 ARF 회의에선 종전선언 관련국인 남북과 미국, 중국 외교장관이 모두 한자리에 모이는데, 대북 제재를 둘러싼 신경전이 예상됩니다 싱가포르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지선 기자! 먼저, 남북 외교장관 회담 소식부터 알아보죠 북한이 우리 측 회담 제안을 거절했다고요? [기자] 정부는 이번 ARF를 계기로 북한에 남북 외교장관 회담을 열자고 일찌감치 제안했었죠 하지만 줄곧 답이 없었는데, 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어제 이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회의가 끝나고 만찬장에서 강경화 장관이 리 외무상에게 먼저 다가가 남북 외교장관 회담의 필요성을 얘기하자 응할 입장이 아니라고 밝힌 겁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두 사람이 오랜 시간 대화하며 북미 정상회담 이후 상황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별도의 회담은 무산됐지만, 이번 접촉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우리 생각을 전달할 기회를 가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만찬장에서 3분 정도 각자 입장만 설명하고 돌아선 데 비하면 분위기는 확실히 좋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기대를 모았던 11년 만의 남북 외교장관 회담 개최는 무산됐습니다 [앵커] 이렇게 되면 남북이 공동 목표로 한 연내 종전선언 논의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기자] 현재 연내 종전선언의 가장 큰 걸림돌은 북한과 미국의 입장 차입니다 북한은 연일 서둘러 종전선언을 하자고 재촉하지만, 미국은 비핵화 조치가 조금 더 이행돼야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일 해리스 주한 미 대사가 핵시설 명단 제출이 종전선언의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정부는 양측의 이런 입장 차이를 좁히는 중재 외교에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국에는 종전선언을 하면 비핵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걸 설명하고, 북한을 향해선 일단 대화에 나서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하라고 촉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ARF에서 이런 중재가 빛을 발해, 남북미 외교장관이 한자리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고 의견을 좁힌다면, 다음 달 유엔 총회에서 관련국 정상이 종전선언을 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남북 외교장관 회담마저 무산되면서 정부의 계획도 한층 어려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포함해 관련국 간 종전선언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고, 정부도 시간이 걸리더라도 계속해서 연내 종전선언을 목표로 관련국과 협의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북한이 참석하는 역내 유일 다자협의체, ARF는 오후에 열린다고요? [기자] 매년 열리는 아세안 관련 회의가 관심을 받는 것도 바로 이 ARF 때문입니다 북한이 공식적으로 참석하는 유일한 역내 다자협의체이다 보니, 국제무대에서 등장이 뜸한 북한 외무상에 언론의 관심이 집중돼 왔습니다 북한 역시 이 ARF를 자신들의 논리를 펴는 장으로 적극 활용해 왔고요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불거진 지난 몇 년간은 이에 대한 규탄 목소리가 높았고, 북한은 고립됐습니다 올해는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북한은 어제 하루 동안만 중국과 베트남을 비롯한 7개 나라와 양자회담을 했습니다 자신들이 비핵화 의지를 밝힌 만큼 대북제재 완화와 조기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 체제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전혀 다릅니다 미 국무부는 이번 ARF에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대북제재 이행의 중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