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불안...한국 경제는? / YTN](https://poortechguy.com/image/EqVqGa6IVEg.webp)
미중 무역협상 불안...한국 경제는? / YTN
■ 진행 : 변상욱 앵커 ■ 출연 : 윤석천 / 경제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미국과 중국은 워싱던 DC에서 무역협상을 시작했습니다 협상 첫날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로 끝이 났고요 앞으로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또 협상의 결과에 따라서 우리나라 경제에서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윤석천 경제평론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좀처럼 진전이 없는데 잘되겠지, 잘되겠지 하면서 사실 속은 타들어갑니다 왜 이렇게 난항을 겪는 겁니까? [인터뷰] 사실 좀 안타깝습니다 그런데 그럴 수밖에 없는 구조죠 사실 트럼프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주창하면서 대통령이 된 인물이라고까지 이야기할 수 있지 않습니까? 또 그 뒤를 뒷받침하고 있는 이번에 미중 간 무역대표로 나와 있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라는 미국 무역대표 부사장이 어떻게 보면 초 강경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중국을 거악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이니까요 또 이분의 전력을 보게 되면 1985년 유명한 미국과 일본 간의 플라자 합의 있지 않습니까? 그 협상을 갖다가 어린 나이에도 상당히 어떻게 보게 되면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인물이에요 협상장에서 일본 측 대표들에게 종비행기를 날렸다거나 아니면 일본 측 대표들이 자기들의 의견을 개진할 때 계속 자기의 말만 해서 어떻게 보면 일본을 갖다가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태도를 보임으로 해서 결국은 플라자협상을 어떻게 보면 미국 측 입장에서 보면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이야기할 수가 있겠죠 하긴 그래서 일본 같은 경우에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보면 잃어버린 20년으로 그렇게 떠밀리고 있는 겁니다 사실 그런데 그런 인물들이 중국을 갖다가 1980년대에 일본처럼 생각하고 있는 거거든요 자신들의 경제 패권의 가장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나라를 중국을 이야기하고 있고요 반면에 중국은 이번 기회에 만약에 일본처럼 꺾이게 되면 사실은 다시는 경제 패권을 쥘 수 없는 게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시진핑 체제 자체도 어떤 위기에 처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는 거죠 따라서 두 나라의 협상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예상하기에는 사실은 서로가 건 널 수 없는 강을 건너려고 하는 시도로 보이는 거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결이 아니라 봉합수술로 갈 수밖에 없는 거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내년, 2020년 재선이 급한 상황이지 않습니까? 만약에 이게 진짜 협상이 완전히 결렬돼서 미국의 금융시장이 큰 타격을 받고 미국의 그나마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제기조가 위기에 처하게 되면 재선은 어떻게 보면 물 건너 갔다고 할 수 있겠죠 [앵커] 대통령 자리가 날아간다 [인터뷰] 중국 역시 그건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서로가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거다, 그게 어떤 협상의 완전한 타결이 아니라 겉으로는 좀 너도 이기고 나도 이기는 선에서 그러니까 서로 아주 큰 핵심 이슈에 대한 어떤 접근 없이 아주 사소한 이슈에 대해서는 합의를 하고 그다음에 계속 협상을 연기, 연기, 연기해가면서 어떻게 보게 되면 외부로는 굉장히 희망이 섞인 발언들을 계속 쏟아내는 것들이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때가지는 계속될 거다, 이런 전망하게 됩니다 [앵커] 문제는 우리입니다 미중 간에 무역협상 결과가 우리 금융,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냐 하는 거죠 [인터뷰] 어쨌든 이번은 파국까지는 안 갈 것이라고 대부분 예상합니다 봉합수술로 보는 것이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