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저' 기준금리 1.25% 시대, 대처법은? / YTN (Yes! Top News)](https://poortechguy.com/image/FBmuwE9a94I.webp)
'사상 최저' 기준금리 1.25% 시대, 대처법은? / YTN (Yes! Top News)
■ 조영무 /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앵커] 사상 최저치가 된 기준금리 앞으로 영향과 대처법 전문가 연결해 좀더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앵커] 조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기준금리 1 25% 당장 오늘부터 영향을 줄 텐데요 은행 예금금리나 대출금리는 언제쯤 조정이 되는 겁니까? [인터뷰] 아마 은행의 예금금리는 빠르면 당장 다음 주부터 인하가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은행이 예금그리를 낮추는 데에는 시중 금리 하락을 반영을 해서 고객들한테 주는 일종의 비용이라고 할 수 있는 예금금리를 즉각 자동적으로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반면에 대출금리가 인하되는 효과를 체감하시거나 느끼시는 데는 상당한 시차 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많은 경우에 대출을 받으실 때 기준금리로 쓰이는 코픽스 금리 같은 경우에 은행의 가중평균자금조달 금리라고 불리는데 결국 은행이 시중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쓰이는 은행채라든가 이런 예금 금리라든가 다양한 금리들이 내려가야만 이것을 반영을 해서 이러한 기준금리가 내려가고 이러한 기준금리가 내려가야만 대출금리가 하락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대출금리 인하는 조금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앵커] 안 그래도 지금도 예금금리가 낮은데 지금보다 다음 주부터 좀 더 떨어진다면 사실상 마이너스 금리로 굳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인터뷰] 그렇죠 그런데 지금 말씀하신 마이너스 금리는 명목금리는 아니고요 실질금리라고 하는 개념이죠 왜냐하면 이번에 금리가 인하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도 명목금리, 그냥 수치상의 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도 1 25% 수준이고 마이너스 금리에 근접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조금 전에 말씀드린 실질금리 한마디로 물가상승률을 감안을 한 금리는 마이너스 금리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은 상황이 됐는데요 왜냐하면 시중금리라든가 기준금리 같은 것들이 1% 초반까지 내려왔고 물가 상승률이 지금 1% 남짓 정도 되기 때문에 이 두 가지의 차이가 거의 0%에 근접을 했고 만약에 시중금리가 더 내려가는데 물가상승률이 올라간다고 한다면 조금 전에 말씀을 드린 것처럼 물가상승률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