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워치] 중국 매체 "사드가 다시 양국간 걸림돌 되면 안돼"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차이나워치] 중국 매체 "사드가 다시 양국간 걸림돌 되면 안돼" [앵커] 한중 외교장관 회담 이후 사드 문제가 다시 양국 간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관변매체를 통해 사드가 한중 사이에 묻힌 지뢰가 됐다면서, 이는 미국이 의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는데요 베이징을 연결해 보겠습니다 임광빈 특파원 [기자] 네, 베이징입니다 [앵커] 중국 매체의 주장을 정리해보면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 미국의 사드 배치는 한국이 미국과 중국 중 한쪽을 선택하도록 강요하기 위한 의도라는 게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해 온 관변매체 글로벌타임스의 보도 내용입니다 그 결과 사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중국과 한국 사이에 묻힌 지뢰가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신문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사드 이슈가 다시 양국 관계의 걸림돌이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뤄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사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직 어렵겠지만, 양국 정부는 이 문제가 한중 관계 위기나 지역의 긴장을 촉발하는 도화선이 되지 않도록 위험을 적극 관리해 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을 위해 자국의 이익을 희생하지 말 것을 전문가들이 말한다 "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박진 외교부 장관이 대중국 외교의 원칙으로 거론한 '화이부동'에 대해 호응하는 메시지를 내놓았다고요? [기자] '화이부동'은 '조화를 이루되 같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난 9일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이 인용한 표현입니다 이에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어제(11일) 중국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화이부동은 군자의 사귐"이라고 호응했는데요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는 기초 위에서 실현한 조화가 더 공고하면서 오래가고, 더 강인하면서도 따뜻한 조화"라고 부연했습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 한중관계에서 주로 통용돼 온 '구동존이', '일치를 추구하되 서로 다른 점은 그대로 둔다'는 말을 대체할지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하지만, '화이부동'이란 말에 호응함으로써 중국이 하고자 했던 말을 더 강조한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우리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중국은 미중 전략경쟁 속에서 자국의 안보상 이해를 존중받길 바라는 맥락에서 화이부동을 긍정 평가했다는 분석입니다 왕 부장은 한중 수교 30주년에 맞춰 '서른이 되면 자립하고 자기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다'는 의미의 '삼십이립'을 강조했는데요 이에 대해서도 한국이 미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대중국 외교정책을 펴길 기대한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란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중국은 지난 4일부터 대만해협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했는데요 지난 10일 훈련 종료 선언 뒤에도 무력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고요? [기자]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반발한 중국은 지난 4일부터 대만해협에서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했습니다 애초 예고한 훈련 기간은 4일 정오부터 7일 정오까지 나흘이었는데요 예고한 기간을 넘겨 지난 10일 훈련 종료를 선언한 뒤에도 훈련을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만을 담당하는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지난 10일 대만 주변에서의 합동 군사훈련을 마무리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만해협에서의 정기 순찰을 예고했습니다 [스이 /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대변인] "동부전구는 대만해협의 상황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고, 전투 훈련과 준비를 계속하며, 대만해협 방향으로 전투대비정찰을 조직해 국가의 주권과 영토의 완전성을 결연히 수호할 것입니다 " 평소 낮은 강도의 훈련을 하겠지만, 대만과의 관계 또 미국과의 관계에서 긴장이 고조될 때는 언제든 대만 침공도 염두에 둔 군사작전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겁니다 실제로 훈련 종료를 선언한 다음 날인 어제도 중국군은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으며 향후에도 일상이 될 것을 예고했는데요 대만 국방부는 어젯밤(11일) 홈페이지를 통해 군용기 21대와 군함 6척이 대만 주변에서 활동했고, 이중 총 11대의 전투기가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