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장봉도 섬에 신도님들과 기도갑니다 - 부천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연화암 이보
#인천 #장봉도 #섬 #신도님들 #기도 #갑니다 #부천점집 #용한무당추천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재수굿 #연화암 #이보 #Shorts 연화암 이보 [상담전화] 010-8777-9782 [상담장소] 부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우 기도는 '눈을 안으로 돌이키는 노력', 즉 내 욕심과 고집을 버리고 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깨닫겠다는 원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의 행위이다 기도는 신 또는 거룩히 여기는 대상에게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인간의 행위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가야 할 길을 구하거나, 도움을 구하거나, 죄를 고백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목적을 위해 신성하게, 영이 가득한 말을 연속적으로 하는 형태를 띠나, 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동을 통틀어서 '기도'로 볼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도하는 사람은 독백을 하거나, 말없이 수행하는 묵도의 형태를 띤다 또한 말뿐만 아니라, 눈을 감거나, 합장, 엎드리기, 또는 일정 구획을 걷는 등의 신체적인 행위 또는 자세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기도는 개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여럿이서 함께 행하는 경우도 있다 기도에 쓰이는 말은 찬송, 주문, 또는 기타 자발적인 발언의 형태를 취한다 기도의 의식은 이념이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교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 가운데 하나이다 단,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명절 혹은 제사 때 조상을 기리거나, 천지신명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우를 보고 소원을 빌거나, 애니미즘, 막연한 대상에게 취하는 감사 등의 행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기도' 또는 '빎'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며, 예컨대, 무엇인가에의 '빎' 또는 기도는 보다 근원적인 욕구에 근거한 인간의 보편적인 활동 양식으로 볼 수도 있으며 그 대상, 때, 장소, 개인의 사상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다 굿:무당이 신을 청하고 환대하고 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무속의례 넓은 뜻으로는 무당이 하는 굿 외에 호남·영남지역의 동신제(洞神祭)나 농악에서 징·꽹과리·장구 등의 풍물을 울리는 것을 ‘메굿’ 또는 ‘굿친다’고 하여 굿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좁은 뜻에서는 무속의 제의에 국한하여 사용된다 제의에는 먼저 제의를 올려야 할 신앙대상으로서의 신, 이 신을 신앙하여 제의를 올리는 신도, 신과 신도의 사이에서 제의를 조직적으로 진행시켜야 할 전문적인 사제자(司祭者)로서의 무당이 있어야 한다 이 셋은 제의를 구성하는 일차적 요건으로, 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도 제의는 성립될 수 없다 무속의 제의는 규모에 따라 크게 ‘굿’과 ‘비손(또는 손빔, 비념)’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굿은 여러 명의 무당이 신에게 많은 제물을 올리고 재비(악공)의 무악반주에 맞추어 무복(巫服)을 입고 가무와 실연(實演)을 위주로 제의를 하는 것이고, 비손은 한 사람의 무당이 신에게 간소한 제물을 바치고 가무 없이 앉아서 축원을 위주로 하는 약식 제의이다 따라서 제의진행 때 서서 한다고 하여 전자를 ‘선굿’, 앉은 채로 한다고 하여 후자를 ‘앉은굿’이라 하기도 한다 동제인 ‘당굿’과 같이 규모가 큰 제의는 당연히 굿으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기자(祈子)·치병·재수발원 등의 제의는 비손이나 굿 어느 형식이든 가능하다 제의규모의 비중에 따라 비손과 굿 또는 ‘작은 굿’과 ‘큰 굿’, 어느 쪽이든 제의가 가능하다 영역닫기굿의 역사 굿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어 그 역사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문헌으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종교적 제의로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전하는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과 같은 제천의식이 있으나, 오늘날의 무당굿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당에 관한 직접적인 기록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 남해왕조(南海王條)의 것으로 여기에서 신라 제2대 남해왕은 차차웅으로 불렸는데 이는 방언으로 무당의 뜻이었다고 하고, 남해왕이 시조묘를 세워 친누이 동생 아로(阿老)로 하여금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고구려에서도 무당이 유리왕의 득병 원인을 알아내고 낫게 한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당시의 구체적인 제의 내용은 알 수 없다 『고려사』에는 무격을 모아 기우제를 지낸 기록이 자주 보이는데, 굿에 관한 가장 직접적인 기록은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되어 있는 장시 「노무편 老巫篇」에 나타난다 즉, 무당이 신이 들려 공수를 내리고 도무(蹈舞)하는 등의 굿의 묘사는 오늘날 중부지역의 무속과 상통하고 있어, 적어도 고려시대에는 무속의 제의체제가 갖추어졌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당이 점을 치고 병을 고친 기록이 남아 있는 삼국시대에도 굿을 했으리라고 추정되고, 고고학자료에서 오늘날 무당의 방울과 비교되는 제의용 방울이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본다면, 굿의 역사는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굿의 종류와 목적 굿의 종류는 규모에 따른 대소의 형태문제와는 달리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현재 전국에서 행해지는 굿을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무당 자신의 신굿인 무신제(巫神祭), 둘째 민가의 개별적 제의인 가제(家祭), 셋째 마을 공동의 제의인 동제의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를 다시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신제 이 굿은 무당 자신의 굿으로 강신제(降神祭)와 봄·가을에 주기적으로 하는 축신제(祝神祭)가 있다 강신제는 성무자(成巫者)가 자신에게 내린 신을 받아 무당이 되는 성무의례(成巫儀禮)로서, 내림굿·신굿·명두굿·하직굿 등으로 불린다 그리고 축신제는 해가 바뀔 때마다 신의 영험을 주기적으로 재생시켜 무당의 영험력을 강화시키는 제의로, 진적·꽃맞이굿·단풍맞이굿·대택굿·신령굿·신질바르는굿(제주도) 등이 있다 2 가제 민가에서 가족의 안녕과 행운을 빌기 위해 하는 굿으로, 생전제의(生前祭儀)와 사후제의(死後祭儀)로 나눌 수 있다 생전제의는 산 사람의 길복을 추구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지고, 사후제의는 죽은 이의 넋을 천도(薦度)하는 것이 공통된 목적이다 생전제의는 또 몇 가지로 분류된다 ① 기자·육아기원제의(祈子育兒祈願祭儀):대개 삼신(또는 지앙, 제왕)과 칠성에게 아기 갖기를 원하거나 아기가 무병하게 성장하기를 비는 내용으로서, 겜심바침·지앙맞이·삼제왕풀이·삼신풀이·불도맞이·칠성제(七星祭) 등이 있다 ② 치병기원제의(治病祈願祭儀):치병을 목적으로 하는 제의로는 병굿이나 푸닥거리가 일반적이고 여기에 영장치기·산거리·중천굿·명두굿 등이 있는데, 특정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굿으로는 천연두를 퇴치하기 위한 별상굿·손풀이·마누라배송, 안질을 예방치료하려는 맹인굿, 미친병을 치료하는 광인굿·두린굿 등이 있다 ③ 혼인축원제의:결혼 전날 아침에 조상에게 혼사를 고하고 성혼(成婚) 후의 행복을 기원하는 굿으로, 서울지역의 ‘여탐’과 호남지역의 ‘근원손’이 있다 ④ 가옥신축(또는 이사)제의:새 집을 짓거나 이사를 가면 성주맞이 또는 성주풀이를 한다 ⑤ 제액(除厄)·행운기원 및 기풍제의: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주기제의 하나로, 재수굿·영화굿·축원굿·성주굿·도신굿·논부굿·치방굿·씨앗고사·맹감풀이·일월(日月)맞이·안택굿·큰굿·산신(山神)풀이·고사·액막이 등이 있다 ⑥ 해상안전·풍어기원제의:해상에서의 안전과 풍어를 비는 제의로, 연신굿·용왕굿·용왕맞이(제주도) 등이 있다 사후제의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① 상가정화(喪家淨化) 겸 망인천도제의(亡人薦度祭儀):상가를 깨끗하게 하고 죽은 사람을 극락세계로 가게 하는 소규모의 굿으로, 자리걷이·집가심·곽머리(씻김)·댓머리·귀양풀이 등이 있다 ② 익사자(溺死者) 천도제의:물에 빠져죽은 사람의 넋을 건져올리는 굿으로, 물굿·수망굿·혼굿·넋건지기굿(혼건지굿) 등이 있다 ③ 망인천도제의:사망 후 본격적인 망인천도를 위한 굿으로, 진오기굿·진오기새남·천근새남·오구굿·망묵이굿·수왕굿·해원굿·씻김굿·시왕맞이·다리굿 등이 있으며, 전국적으로 행해진다 3 동제 마을을 수호하는 동신(洞神)에게 주민들이 정성을 모아 드리는 제의로서, 봄·가을에 주기적으로 행해진다 마을의 액을 막고 풍농이나 풍어를 비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① 제액·풍농제의:내륙지역에서 행하는 굿으로, 당굿·도당굿·서낭굿·부군당굿·별신굿 등이 있다 ② 제액·풍어제의:해안지역에서 행하는 굿으로, 풍어제·용신굿·연신굿·서낭[船王]풀이·별신굿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무속의 굿은 그 목적에 따라 13종의 제의로 나누어볼 수 있다 가제 속에는 인간의 출생으로부터 혼인·사망에 이르는 통과제의(通過祭儀)가 그 저변에 깔려 있다 그리고 계절에 따라 주기적으로 거행되는 무당 자신의 축신제, 마을 공동의 동제, 민가의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위한 안택 등과 같은 제의는 민간인들 스스로 그들의 생활현장을 주기적으로 정화시켜나가는 삶의 제의로 볼 수 있다 굿의 형태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또 종류와 목적에 따라 굿거리가 다양하게 구성되지만, 전체적으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규모에 따라 굿과 비손으로 구분되고, 굿은 다시 무당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일원적 형식과 이원적 형식으로 각기 형식상의 차이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