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S프라임]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과제 , 세계 과학자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 중성미자와 암흑 물질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3부.』](https://poortechguy.com/image/Fkt2CegE3Fo.webp)
[다큐S프라임]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과제 , 세계 과학자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 중성미자와 암흑 물질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3부.』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3부 』 강원도 정선, 기초과학연구원 우주의 비밀 풀기 위해 만든 1,000m 지하실험시설 현대 물리학은 우주에서 인류가 알고 있는 물질이 전체 4 9% 불과하다고 설명합니다 중력이 있지만 빛을 내지않는 존재 즉 암흑물질이 우주의 26 8% 차지하고 나머지는 중력대신 밀어내는 암흑에너지라고 추정하고 있다 암흑물질은 1930년대 초, 스위스 천체물리학자 프리츠 츠비키가 은하 질량을 관측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질량의 존재가능성을 제시했는데요 그것을 암흑물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암흑물질은 세계 과학자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핵심 과제이자 노벨 물리학상 0순위로 꼽히는 연구입니다 미국과 유럽들은 30여 년 전부터 암흑물질 연구를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어떤 과학자도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본 과학자들은 2015년 지하실험실에서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중성미자를 발견해 노벨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중성미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인데요 빛 입자인 광자 다음으로 많은 중성미자는 태양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 때마다 1초 당 700억 개가 배출되는데요 하지만 질량이 거의 없고 타 물질과 상호작용이 없어 발견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유령입자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현재 인류가 알고 있는 중성미자는 전자중성미자, 타우중성미자, 뮤온중성미자이지만 과학자들은 또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세 종류의 중성미자의 질량 차이만 알고 있을 뿐 정확한 질량도 파악하지 못한 상태다 우리 대한민국 과학계도 중성미자와 암흑물질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해 강원도 정선에 초거대 지하실험시설을 만들었는데요, 무려 1,000m 깊이의 세계 6위급 고심도 지하실험시설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 과학들이 우주 기원을 밝히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이자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 과제 암흑물질과 중성미자 그리고 한국의 고심도 지하실험시설 예미랩을 다큐S프라임에서 만나보세요~! == 3부 ==================================== 00:00 | 우주 비밀을 풀기위한 지하실험연구단 00:19 | 노벨물리학상 0순위 연구 분야, 암흑물질 01:22 | 일본의 중성미자 연구와 노벨상 수상 02:00 | 중성미자란? 03:40 | IBS 지하실험연구, 암흑물질 검출 '코사인'실험 04:49 | 강원도 정선, 초대형 지하실험실 예미랩 06:51 | 예미랩 임무 07:17 | 우주 초기 생성의 비밀을 풀 중성미자 08:32 | 기초과학연구의 필요성 09:33 | 국내외 과학계가 한 자리에 모인 교류의 장 ======================================== [1부]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평균연구기간, 31 2년 ▶ [2부] 노벨상 배출 강국,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 [풀영상]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 #지하실험연구 #암흑물질 #중성미자 #노벨상 #기초과학 노벨상, 기초과학의 힘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