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ESG경영 평가항목, ESG평가 4영역, ESG평가 42항목, 정보공시 4항목, 환경 11항목, 사회 20항목, 지배구조 7항목
ESG평가 4영역, ESG평가 42항목, 정보공시 4항목, 환경 11항목, 사회 20항목, 지배구조 7항목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ESG 경영 평가항목 실무를 살펴봅니다 ESG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ESG란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약자죠 기업의 제2의 도약,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바로 ESG 경영이 필수라는 견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어요 경영상 예측 불가능한 복잡한 시대를 맞이하여, 기업의 ESG 경영은 ‘미래의 나침판’을 손에 넣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기업의 ESG 경영 장점은 무엇인가요? ①세상에 기업에 대한 이미지 향상입니다 ②기업의 신뢰성 각인으로 이미지 브랜딩이 가능하죠 ③투자자들 평가도 높아지기 때문에 자금 조달에서도 유리합니다 즉, 돈의 흐름으로 주목받는 ESG투자입니다 ④자사평가가 높아져 사원의 모티베이션도 업(up)됩니다 ⑤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죠 가령, 타사나 정부기관·단체 등과 제휴도 쉬워집니다 2 ESG 경영 평가항목 ESG평가 항목은 Public(정보공시),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4가지 영역 42항목입니다 (K-ESG 안내서 근거) 1) 정보공시(Public)영역 4가지 항목 - 정보공시 방식(ESG 경영선포식, 홈페이지, 지속가능보고서 등) - 정보공시 형식 (1년 단위 보고서 발간 등) - 정보공시 범위 (자회사까지 ESG 정보공시 등) - 정보공시 검증 (제3의 기관 인증확인 등) 2) 환경(Environment) 11가지 항목 사업을 통해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포함한 경영을 말한다 - 환경경영추진체계 (환경경영 과제·추진·점검·평가, ISO14001 등) - 원부자재 사용량 (1년·5년 대비 원부자재 사용량 비교 등) - 온실가스 배출량 (1년·5년 대비 온실가스 사용량 비교 등) - 온실가스 배출검증 (ESG정보 검증수준 공개/제3검증기관 등) - 에너지 사용량 (1년·5년 대비 에너지 사용량 비교, ISO50001 등) - 에너지 추가1 (최근 5년간 에너지 원단위 평균 개선율 등) - 용수 사용량 (1년·5년 대비 용수 사용량 비교 등) - 폐기물 배출량 (1년·5년 대비 폐기물 사용량 비교 등) - 대기오염물질배출량 (1년·5년 대비 대기오염물질 사용량 비교 등) - 수질오염물질배출량 (1년·5년 대비 수질오염물질 사용량 비교 등) - 기후변화 대응 추가1 (과거 5년간 산림탄소 흡수량 산출비교 등) 3) 사회(Social) 20가지 항목 - 정규직 비율 (총근로자 수 대비 정규직 비율검토 등) - 결사의 자유보장 (노사협의 회의록 작성·비치 등) - 노동 추가1 (정규직 중 고졸자 비율 측정 등) - 노동 추가2 (여가 친화경영, 인증취득 등) - 노동 추가3 (50세 이상 시니어 재취업 비율 측정 등) - 여성구성원 비율 (여성 구성원 비율 성과 등) - 여성급여 비율 (남성과 여성 급여액 차이 등) - 장애인 고용률 (장애인 의무고용률 등) - 안전보건 추진 (안전보건 추진체계 및 교육, ISO45001 등) - 산업재해율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등) - 전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 및 중장기실행계획 등) - 구성원 참여봉사 (봉사참여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 - 지역사회 추가1 (농어촌지역과 상생 협력, 최근 5개년 농어촌 상생협력, ESG활동 등) - 지역사회 추가2 (산학협력 활성화 추진, 매출액 등 ) - 지역사회 추가3 (미래세대 성장 교육 및 기여 활동 등) - 공급망 안정 (원부자재 공급망 다변화, 동반성장 등) - 소비자 정보 (소비자 정보제공 채널 운영, 각 세부 8가지 사항별 10점씩 배분 등) - 소비자 안전 (소비자 안전 규정 정립 및 실적기록 등) - 소비자 불만 (불만처리 규정, 담당조직, 자료관리 등) - 개인정보 보호 추가1 (개인정보 처리방침 작성, 투명성 보고서 발간 등) 4) 지배구조(Governance) 7가지 항목 - 이사회 ESG안건 (ESG 안건·심의·의결 등) - 이사 출석률 (전체 이사 출석률 등) - 이사회 안건처리 (이사회 의사록, 반대의견 건수 등) - 주주총회 소집 (주주총회 공고, 게시판, 온라인, 서면 등) - 윤리규범 위반 (윤리 규범 위반사항 공시, 법규 등) - 윤리경영 추가1 (반부패 행동강령, 처벌조치 내역 등) - 경영진 추가1 (경영진 성과지표 평가 및 보상 등) 3 결론 결국 기업이 제2의 도약, 지속가능개발 목표를 성공시키기 위해서, CEO는 ESG경영에 대하여 첫째, ‘경영전략 나침판’으로 삼는다 둘째, 사원의 ‘차세대 리더 육성기회’로 삼는다 셋째는 ‘전사적으로 실천’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