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N 뉴스]후쿠시마 사고 4년 안전 논란은 계속
{앵커: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 고리 1호기를 포함한 국내 원전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폐로 결정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면서 갈등과 마찰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수퍼: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지난 2011년 3월} 4년 전, 안전만큼은 세계 최고라던 일본에서 원전 폭발 사고가 났습니다 파장은 부산에 가장 크게 미쳤습니다 {수퍼:폐로 요구 봇물/IAEA 안전 점검 실사 나와} 즉각, 노후된 고리 1호기의 폐로 여론이 다시 들끓기 시작했습니다 크고 작은 사고도 잇따르면서 국제 원자력기구까지 점검에 나섰습니다 {수퍼:원전 비리 수사단, 100여명 기소} 국내에서 원전 비리가 집중적으로 파헤쳐진 것도 이때부터 입니다 검찰 합동 수사단은 무려 원전 관계자 100여명을 기소했습니다 {인터뷰} {수퍼:김기동/부산지검 동부지청장/"검찰의 강도높은 수사가 계기가되어 원전업계와 원전 관련 기관들 사이에 자정노력이 크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 정부는 수사 이후 대대적인 비리 근절책과 안전 방안 등을 내놨습니다 종합 훈련의 주기를 앞당기고, 비상 방재구역을 기존보다 확대했습니다 {수퍼:정부의 일방통행식 의사결정 개선 필요} 하지만 후쿠시마 사고의 파장에도 바뀌지 않는 게 있습니다 정부의 일방통행식 의사결정 입니다 원안위 위원들이 과반수 찬성하면 원전의 수명 연장이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전화:} {수퍼:김혜정/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정치적 독립과 원자력 산업계로부터 독립해 그야말로 명실상부한 규제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현행 관련법도 보완해야할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안전성 평가도 비공개로 진행하고 결과도 일부만 통보합니다 이 때문에 시민단체의 노후 원전 안전 의혹이 말끔히 해소가 안됩니다 {StandUp} {수퍼:주우진} "어느 한쪽이 납득할 수 있을만한 이유가 제시되지 못하면서 수년째 안전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 {수퍼:영상취재: 전재현} 이제는 원전 안전 규명과 수명 연장에 사회적 합의점이 도출돼야 할 때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