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미 SVB·시그니처은행 연쇄 파산...국내 금융권 영향은? / YTN](https://poortechguy.com/image/GeIOkq48Myc.webp)
[더뉴스] 미 SVB·시그니처은행 연쇄 파산...국내 금융권 영향은?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 출연 :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더뉴스]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미국에서 두 은행이 연쇄 파산하면서 우리 금융시장 뿐 아니라 전 세계 금융시장이 지금 파장이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앵커] 과거 금융 위기 때와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 또 우리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 짚어보겠습니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앵커] 안녕하세요 미국에서 2개 은행이 연쇄 파산했잖아요 어떤 은행들입니까? [김광석] 말 그대로 전문은행 하나, 이미 많이 알고 계시는 SVB 같은 경우에는 말 그대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 혹은 예금 이런 것을 구조로 갖고 있죠 보시는 것처럼 벤처 금융 전문은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대표적인 사례는 없는데요 굳이 비슷한 걸 찾는다면 씨티뱅크코리아 같은 경우 가계 금융은 안 하고 기업 금융만 하죠 이렇게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어떤 식으로 가져갈까가 문제인데 여기서 핵심이 미국의 44%가 이 SVB의 고객입니다 굉장히 영향력 있는 은행이라고 볼 수 있고요 그리고 연쇄 파산까지 했죠 시그니처 파산이죠 역시 지역 은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재무구조가 탄탄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어떻게 보면 수익자산의 절대적인 비중이 특히 증권에 많이 투자된 경우, 시그니처 뱅크 같은 경우에 그렇고 SVB도 마찬가지 전체 증권투자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습니다 그러니까 채권가격이 떨어지면서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대표적인 대상 은행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실리콘밸리은행 같은 경우에는 실리콘밸리 안에서는 가장 크고 미국 안에서도 16번째 규모의 은행이잖아요 그런데 어떻게 이렇게 갑자기 파산할 수 있는 겁니까? [김광석] 16위라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은행이 상대적으로 몇 개 없으니까 16위가 다소 뒤에 있는 은행인가 생각할 수도 있는데 미국 같은 경우 5000개 은행이 있습니다 그중 16위니까 순위가 굉장히 높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요 또 파산한 은행 중에서는 미국 역사상 두 번째인 거예요 그래서 워싱턴뮤추얼뱅크라고 2008년에 파산한 은행이 있습니다 이게 제일 크고요 두 번째니까 이것은 작은 게 아닙니다 배경을 설명드려보면 일단 20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 그때 예금액이 늘었어요 왜냐하면 벤처기업들이 돈을 잘 벌었습니다 그리고 그 예금액을 가지고 SVB 같은 경우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했는데 어디에 투자를 했냐면 미국 국채에 투자를 했습니다 그랬는데 22년, 23년 동안 금리가 엄청나게 올라가지 않았습니까? 그 동안에 채권가격이 떨어지는 거예요 그러면 채권을 매각해도 손실이 일어날 수 있어요, 계속 보유하면 괜찮지만 여기서 문제가 생긴 건데 벤처기업들이 22, 23년 경기침체의 직접적 영향을 받다 보니까 돈이 부족해요 예금을 인출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예금을 인출하는데 충분한 유동성이 없으니까 지금 당장 손해가 나더라도 채권을 매각할 수밖에 없었던 거예요 그러면서 대규모 손실이 일어났고 유상증자도 했고 그런 것들이 계속 이어지다 보니까 여기서 돈을 빼야겠어 하면서 뱅크런이 발생한 거죠 그런데 과거의 뱅크런 하면 은행 지점 앞에 가서 돈 주세요 하고 줄서고 있는 그런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데 지금의 뱅크런은 말 그대로 손 안에서 이루어지니까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